아하
학문

전기·전자

자유로운풍뎅이41
자유로운풍뎅이41

전기 CT에 대해서 궁금한점 질문드립니다.

태양광 발전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CT가 있는데

CT의 전류비가

300/5A K1(1S1)

150/5A K2(1S2)

이렇게 두개가 나와있는데, 제가 알기로는 저 CT로 300/5 와 150/5 둘 다 사용이 가능하나

결선 방법에 따라 전류비가 달라진다고 들었는데

어떻게 구분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저 CT의 경우 도면상에는 300/5 로 나와있는데

실제로 300/5로 되어있는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변류기(CT)는 특정 결선 방법에 따라 전류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CT는 여러 종단이 있을 수 있으며, 각 종단은 서로 다른 전류비를 제공합니다. 질문자님께서 언급하신 CT에서 K1(1S1)과 K2(1S2)는 각각 300/5와 150/5의 전류비를 나타냅니다. 결선이 K1(1S1)로 이루어졌다면 300/5, K2(1S2)로 이루어졌다면 150/5의 전류비가 사용됩니다. 현재 도면상 300/5로 나와 있다면 K1(1S1)에 결선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 결선 상태를 확인하려면 CT의 단자 연결을 직접 점검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CT 주변의 라벨이나 표식을 추가로 확인하시면 구체적인 현황 파악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CT(전류 변성기)는 1차측 권선 탭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전류비가 결정됩니다. 300/5A로 설정하려면 K1(1S1)과 K2(1S2)를 직렬로 연결하고 150/5A로 설정하려면 K1만 사용하여 결선합니다. 현재 도면에 300/5로 표기되어 있다면 실제 결선을 확인하여 K1과 K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CT의 전류비가 300/5와 150/5 두 가지 옵션을 제공한다고 하셨다면, 결선 방법에 따라 원하는 전류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CT는 절연된 1차 권선과 여러 개의 2차 권선을 가지고 있으며, 각 권선에 따라 다른 전류비를 제공합니다. 1차 권선의 연결 방법이나 2차 권선을 어떻게 결선하느냐에 따라 전류비를 조정할 수 있다면, 도면에 300/5로 명시되어 있는 부분을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 실제로 전류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CT의 2차측에서 적절한 계측 장비를 사용하여 주어진 전류가 어떻게 분배되는지 측정해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만약 전류비가 도면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설치나 결선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도 있으니 이를 점검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 입니다.

    CT 라는 용어는 Current Transmformer의 약자인데요.

    전류를 변환하는 비율을 의미하고요.

    300/5A 하고 150/5A 는 2 종류의 2 중 탭 CT를 지원한다는 뜻이예요.

    전선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서 1차측과 2차측에 권선의 연결을 바꿔서 연결하면

    300/5A 비율로 변환하는 동작을 하도록 설정하거나

    150/5A 비율로 변환하는 동작을 하도록 설정할수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도면을 보면서 설명을 해야 정확하긴 합니다.

    300/5A K1(1S1) 결선 방식으로 연결하면 1차측 전선은 K1 쪽에 연결하고요, 2차 측은 1S1 단자에 연결해요.

    그러면, 1차측 전선에는 300A가 흐르고 2차측 전선에는 5A가 흐른다는 뜻이예요.

    150/5A K2(1S2)) 결선 방식으로 연결을 하면, 1차측 전선은 K2에 연결하고요,

    2차측은 1S2 단자에 연결해요.

    이때는 1차 전선에는 150A가 흐르고요. 2차측 전선에는 5A가 흘러요.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실제 CT에 300/5로 되어있다면 그게 맞죠.

    권선비의 차이를 두어 CT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상용전류를 파악하는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CT의 전류비는 CT를 결선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1. Y결선

    - CT를 Y결선으로 연결하면, CT의 전류비는 √3배로 증가합니다.

    - 예를 들어, 300/5A CT를 Y결선으로 연결하면, 전류비는 (300/5) x √3 = 150/1A가 됩니다.

    2. Δ결선

    - CT를 Δ결선으로 연결하면, CT의 전류비는 1/√3배로 감소합니다.

    - 예를 들어, 300/5A CT를 Δ결선으로 연결하면, 전류비는 (300/5) / √3 = 450/7.07A가 됩니다.

    따라서, CT의 전류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CT의 결선 방법을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도면상에 300/5로 나와있다면, 해당 CT는 Y결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실제 CT의 결선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CT의 결선 상태가 도면과 다르다면, 해당 CT의 전류비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CT의 결선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CT를 교체하거나, 결선 방법을 변경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