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귀는 어떻게 소리를 인식하는 지 궁금합니다.
사람이 귀를 통해서 듣는 소리는 어떤 기관을 통해서
듣게 되고 그것을 우리의 뇌가 인식을 하고 구별해서
몸으로 행동하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소리는 먼저 외이에 해당하는 귓바퀴와 외이도를 통해 들어옵니다. 귓바퀴는 주변에서 오는 소리를 모아 외이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외이도를 통해 수집된 소리는 고막(청막)으로 전달됩니다. 소리의 진동은 고막을 울리게 하며, 이는 중이에 위치한 세 개의 작은 뼈(안머리골, 족골, 등골)로 구성된 청소골을 진동시킵니다. 이 작은 뼈들은 소리의 진동을 증폭시켜 내이에 있는 달팽이관(코클리어)으로 전달합니다. 달팽이관 내부는 유모세포와 가득 찬 액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소리의 진동이 코클리어를 통과하면, 내부 액체가 움직이고 이로 인해 유모세포의 미세한 털이 움직입니다. 이 털들이 움직일 때, 유모세포는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합니다. 소리 정보를 담은 신경 전기 신호는 청신경을 통해 뇌의 청각 피질로 보내집니다.
안녕하세요.
소리가 공기를 통해 외이에 도달하고, 이 파동이 고막을 진동시킵니다.
고막에는 이소골이라는 작은 뼈들이 붙어있고, 이 뼈들이 이 진동을 증폭시킵니다.
진동은 달팽이관으로 전달되어 내부에 진동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 진동의 패턴에 따라 청세포에 전기신호가 발생되며, 뇌가 이를 받아들여 소리로 느끼게됩니다.
사람이 소리를 인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이(귀밖)에서 소리는 진동으로 인식되어 고막을 진동시킵니다. 이 진동은 중이(귀속)의 세 개의 소골(종주골, 단구골, 취주골)을 거쳐 내이(귀안)의 달팽이관으로 전달됩니다. 달팽이관 내부의 청각 유모세포가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청각신경을 자극합니다. 청각신경은 이 전기신호를 뇌간의 청각핵을 거쳐 최종적으로 대뇌 피질의 청각영역으로 전달합니다. 청각영역에서 소리의 높낮이, 크기, 방향 등이 분석되어 소리의 의미를 인지하게 됩니다.
이렇게 인지된 청각정보는 다른 감각정보와 통합되어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경적소리를 듣고 뇌가 위험신호로 인식하면 몸은 자동적으로 피하는 반응을 하게 됩니다. 이처럼 귀는 소리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뇌가 이를 해석하여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귀에 들려오는 소리는 공기의 진동이 귓구멍으로 들어와 고막 안쪽에 있는 뼈에 전달되고 달팽이관으로 다시 전달됩니다. 달팽이관의 청모세포가 흔들려 전기신호로 바꾸어서 청신경으로 보냅니다. 감사합니다.
사람이 귀를 통해 듣는 소리는 외이도, 중이, 내이로 구성된 청각기관을 통해 전달됩니다. 외이도에서 소리가 수신되고 중이에서 소리가 진동으로 변환되며, 내이에서 뇌로 전달됩니다. 뇌는 이러한 소리 신호를 해석하여 우리가 소리를 인식하고 구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뇌는 소리의 주파수, 음량, 지속시간 등을 분석하여 소리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소리의 종류나 의미를 이해합니다. 이후 뇌는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우리가 적절한 반응을 하도록 몸을 조절하게 됩니다.
'귀'는 오감 중 하나인 청각을 받아들여 소리를 듣는 기관으로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됩니다. 외이는 소리를 고막까지 전달하는 부분이고, 중이는 고막에서 내이 사이의 공간으로 고막의 진동을 달팽이관까지 전달해주는 부분을 말하며, 내이는 소리를 직접 느끼는 달팽이관이 있는 부분을 말합니다. 인간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소리가 공기라는 매질을 통해 외이에 도달하면 내이의 고막을 진동시키게 되고, 고막은 이소골을 진동시키게 됩니다. 이런 뼈의 진동은 달팽이관의 청세포를 자극하며, 청세포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청신경이 뇌에 전기신호를 보내어 이 신호를 소리로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소리는 공기 중에서 진동이 일어나며, 이 진동은 일정한 주파수와 진폭으로 특정 파장을 가지게 됩니다.
사람의 귀는 이러한 소리 파장을 귓바퀴를 통해 모으고, 고막을 통해 이 진동을 인지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고막이 잔동을 하면 그 뒤에 바로 붙어있는 귓속뼈는 이 진동을 더욱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진동이 더욱 커지면서 소리를 더욱 선명하게 들을 수 있게 되죠. 증폭된 소리의 진동은 달팽이관에 청각세포로 전달이 됩니다2.
소리의 인식: 청각세포는 청각 신경과 바로 연결이 되어 있고 청각신경은 대뇌로 소리의 자극을 전달하여 소리를 듣고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음역대는 20Hz~20,000Hz입니다. 20Hz 이하의 소리는 초저주파음, 20,000Hz 이상의 소리는 초음파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