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 서양학 의사는 누구였을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의사분들이 존경스럽더라구여. 사람의 한 생명을 지켜내신다는 게 힘들고 어려운 일인데 말이져 그래서말인데 혹시 우리나라 최초 서양학 의사는 누구였을까요?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 한국인 최초의 양의(洋醫)는 - 《독립신문》으로 유명한 서재필이다. 그가 한국에서 한국인에게 의술을 - 베푼 적도 없었고, 스스로 의사임을 - 내세운 적도 없었기에 이 사실을 아는 - 사람은 별로 없다. - 그는 갑신정변 실패 후 미국에 망명했고, 1892년 콜럼비안의과대학(지금의 조지워싱턴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 한국인 최초로 의사가 된 것이다. - 한국 최초의 여의사는 박에스더다. - 의료선교사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의 통역 겸 - 보조의사로서 일하다가 미국에 건너가 1900년 볼티모어여자의과대학(4년제)을 졸업했다. -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한국인 최초의 양의(洋醫)는 《독립신문》으로 유명한 서재필이다. 그가 한국에서 한국인에게 의술을 베푼 적도 없었고, 스스로 의사임을 내세운 적도 없었기에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는 갑신정변 실패 후 미국에 망명했고, 1892년 콜럼비안의과대학(지금의 조지워싱턴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한국인 최초로 의사가 된 것이다. - 출처 :http://www.snuh.org/board/B001/view.do?bbs_no=53&searchKey=all&searchWord=&pageIndex=1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 한국인 최초 서양의사는 - 박서양(朴瑞陽, 1885년 9월 30일 ~ 1940년 2월 15일 황해도 연안 출생)은 대한제국의 외과 의사, 화학자,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외과 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 입니다.백정출신으로 공부하여 의사가 된입지적인물입니다. 
- 안녕하세요.우리나라 최초의 의사는 1896년 6월 미국 조지워싱턴 대학 의학부를 졸업한 서재필이며, 여의사로는 1900년 미국에서 의사 자격을 얻고 귀국한 박에스터가 있습니다. - 참고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은 미국인 선교사가 1885년에 만든 광혜원이었습니다. 선교사들은 대부분 의사를 겸임하였는데, 알렌 또한 마찬가지였습니다. - 알렌은 갑신정변 때 부상을 입은 명성황후의 조카 민영익을 치료해 준 인연으로 고종의 총애를 받게 되었고, 고종의 도움으로 광혜원을 세워 운영할 수 있었습니다. 이 병원은 나중에 제중원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대한 제국 시대인 1899년에는 국립 병원인 광제원이 세워졌고 이 병원은 서양 의술과 한방 의술을 모두 할 수 있는 병원으로 1907년에 ‘대한 의원’으로 이름을 바꾸어 환자 치료뿐 아니라 의료 요원까지 양성했습니다.- 1904년에는 세브란스 병원이 설립되어 가난한 환자의 치료에 힘썼으며, 1909년에는 각 지방에 도립 병원인 ‘자혜 의원’이 세워져서 지방 사람들도 서양 의술에 의해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 최초 서양의사는 박서양으로 대한제국의 외과의사, 화학자, 교육자이자 일제강점기의 외과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서양식 기준에 맞는 근대적 의사는 서재필이 최초였다. 서재필은 갑신정변에 참여한 후 일본과 미국으로 망명했다가 1892년 6월 컬럼비아 의과대학(현 조지워싱턴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면허를 받았다. 그 다음으로는 1899년 7월 도쿄 자혜의원 의학교를 졸업한 김익남이 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우리 나라 최초의 의사는 전남 보성 출신의 서재필(徐載弼: 미국명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 1866. 11. 18∼1951. 1. 5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