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듬직한개구리90
듬직한개구리90

새들이 전선 위에 앉아 있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전선 위에 앉아있는 새들을 흔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선 위에는 감전이 될 수 있어서 위험한데요. 새들은 전선 위에서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전압에 따른 전위차 때문입니다. 전류는 저항이 적은쪽으로 흐르게 되는데, 새의 경우 전류저항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압전선에 그냥 걸터 앉아있을 땐 감전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전류의 흐름이 다른 곳에 닿을 수 있을 경우엔 감전이 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새가 걸터앉은 곳이 온전히 전선일 경우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방향은 새에게로 가거나, 전선 자체로만 가는 것 뿐이고, 여기서 새의 전류저항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전류 대부분은 전선의 가닥방향으로만 흐릅니다. 그런데, 만약 새가 왼발은 전선에, 오른발은 전선이 아닌 바닥이나 혹은 다른 전류량이 다른 전선을 밟고 있다면, 전류의 흐름이 새 외에도 다른 물체에도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새도 감전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새들이 전선 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전선의 전위와 새의 몸이 같은 전기적 상태에 있기 때문입니다. 전선에는 전기가 흐르지만, 새가 전선에 앉을 때는 전류가 새의 몸을 통과하지 않아서 안전합니다. 사실 감전은 전류가 몸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데, 근데 새가 전선 위에 앉을 때는 단순히 전선과 접촉하는 상태로, 전류가 흐를 경로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만약 새가 두 개의 전선 사이에 앉거나, 전선과 접지(땅)에 동시에 닿으면 감전될 수 있습니다. 이게 전기 회로의 기본 원리 지식이 필요한데 더 궁금하시면 추가 질문 주시면 답 해드릴게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새들이 전깃줄에 앉아있어도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저항과 전위차 때문입니다. 저항이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는 작용인데요, 전깃줄에 새가 앉으면 새의 몸통과 전깃줄이 병렬 형태로 연결됩니다. 이때 병렬로 연결된 경우 저항이 작은 쪽으로 더 많은 전류가 흐르는데, 새의 경우 저항이 상대적으로 전깃줄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감전이 되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전위차는 전압의 차이를 말하는데요, 전압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때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이 되지 않습니다. 사람이 감전되는 이유는 전위차가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새의 경우에는 몸집이 작기 때문에 전선에 접촉된 구간 역시 매우 적습니다. 이 때문에 전위차가 거의 존재하지 않아서 감전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 새들이 전선 위에 앉아 있어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두 발이 전선 같은 한 지점에만 닿아 있기 때문입니다. 감전은 전류가 신체를 통해 흐르며 전압 차이가 있을 때 발생하는데, 새는 전선 하나만 잡고 있어 전압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만약 새가 두 개의 전선이나 전선과 다른 물체를 동시에 만지면 전압 차이가 생겨 감전될 수 있습니다.

  • 새들이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두가지입니다.

    첫째, 새가 전깃줄에 앉았을 때 전류에 대한 높은 저항력능 가지기 때문에 전류는 새가 아니라 좀 더 낮은 저항으로 계속 전깃줄을 따라갑니다.

    둘째, 새가 전깃줄에 앉을 때 두 다리 사이의 전선 부분과 새의 몸통이 서로 병렬연결 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두 다리와 전선 부분에는 저항이 0에 가깝게 되고, 전위차도 0이 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답은 전위차 때문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전압차이입니다.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되지 않습니다. 새의 경우, 몸집이 작아서 전선에 접촉된 구간이 매우 적어서 그렇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감전은 전선과 지면 또는 다른 전위의 물체 간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합니다. 만약 새가 두 개의 전선에 동시에 앉거나 전선과 지면에 동시에 접촉하게 되면, 전위 차이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감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일 전선 위에 앉아 있을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앉아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새가 전선 한 곳에만 발을 대고 있을 때, 새의 몸과 전선은 동일한 전위를 가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전위 차가 없으므로 전기가 새의 몸을 통해 흐를 필요가 없고, 결과적으로 감전되지 않습니다. 전기는 더 낮은 전위로 흐르려는 성질이 있지만, 새가 전선 위에만 접촉하고 있고, 다른 접지된 물체에는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가 흐를 경로가 없습니다. 즉, 새의 몸을 통해 땅으로 전류가 흘러갈 경로가 없으므로 감전되지 않습니다. 새가 전선과 접지된 물체(ex : 전봇대, 다른 전선)를 동시에 만지지 않는 한, 전기는 새의 몸을 통해 흐르지 않습니다. 새가 전선 한 개만을 발고 있으면, 전기는 다른 경로를 통해 흐르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새를 통해 흐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