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생활 속 과학입니다.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22,922개
답변 평점
4.8
(1,401)
받은 응원박스
64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1,803개
친절한 답변
542
자세한 설명
468
명확한 답변
405
돋보이는 전문성
380
명확하지 않은 답변
4
성의없는 답변
2
이해하기 어려움
1
설명이 부족함
1
최근 답변
2050년이 되면 인간은 정말로 죽음을 극복할 수 있을까.
2050년이라면 완전히 죽음을 극복하는 것은 어려워 보입니다.무엇보다 노화라는 것 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에 현재 상황으로는 120세 이상 평균 기대수명을 넘기는 것이 어렵습니다.그렇지만, 반노화연구는 크게 발전하게 될 것입니다.결과적으로, 2050년쯤에는 건강 수명이 크게 증가하며, 많은 사람이 질병 없이 90~100세까지는 활발하게 살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그러나 고가 치료를 받는 부유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간의 생물학적 계급이 발생하여 사회 갈등이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말씀하신 연금 붕괴와 세대 갈등은 피할 수 없는 사회 경제적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개인적으로는 노화로 인한 고통과 질병을 피할 수 있다면, 극복하고 싶다는 본능적 욕구가 강하게 작용 수도 있을 듯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1일 전
0
0
세균오염 사례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이전 질문에도 비슷한 답을 드린 듯 하지만, 3개의 질문에 각각 답을 드리면..1. A지점의 미세 오염원인 곰팡이 포자나 세균이 1m 떨어진 B 지점까지 이동할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곰팡이 포자와 세균은 주로 에어로졸이나 비말 형태로 공기 중에 부유하며 이동합니다. 특히 곰팡이 포자는 크기가 작고 가벼워 미세한 공기 흐름에도 쉽게 실려 수 미터 이상 이동할 수 있습니다.게다가 바닥에 있던 먼지나 입자들은 사람의 작은 움직임이나 청소 등으로 인해 재부유되어 공기 중으로 올라가기에 A지점과 B지점 사이 1m 거리는 오염원이 충분히 도달할 수 있는 상당히 가까운 거리입니다.2. 봉제인형이 바닥에 2분간 직접 닿아 있었다면, 공기 중 입자나 바닥 표면의 미세 오염원이 인형 천 섬유에 부착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바닥 표면에는 A지점뿐만 아니라 실내 다른 먼지나 세균, 포자 등이 축적되어 있어 봉제인형이 바닥에 직접 닿는 순간, 물리적 접촉을 통해 바닥의 오염원들이 인형의 섬유 표면으로 전달되게 됩니다.3. 약 2분이라는 짧은 시간의 노출이 즉각적으로 건강 문제나 심각한 세균 및 곰팡이 증식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위험하지 않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마지막으로 요약하자면 과학적으로 볼 때, A지점의 오염원이 공기 흐름을 타고 1m를 이동하여 B지점에 도달할 수 있으며, 바닥 표면 접촉 시 인형에 오염원이 부착될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2분의 노출만으로 바로 심각한 건강 문제가 발생하거나 봉제인형에서 당장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1일 전
5.0
1명 평가
0
0
세균오염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말씀해주신 상황에서 A지점의 곰팡이 포자나 세균이 약 1m 떨어진 B지점의 옷 박스 내부 옷에 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은 충분합니다.곰팡이 포자나 세균은 매우 작기 때문에 공기 중에 부유하며 이동게 되는데, 1m 거리는 사람의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실내 공기의 미세한 기류만으로도 충분히 도달할 수 있는 짧은 거리입니다.결국 박스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았다면 공기 중 포자가 그 틈을 통해 내부의 옷에 침투하여 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은 충분한 것입니다.물론 1시간 만에 옷에 곰팡이가 피는 것은 아니지만, 매우 짧은 시간에 포자나 세균이 옷 섬유 표면에 정착하여 오염시키는 것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만, 단시간 노출만으로는 심각한 감염 이나 건강상의 즉각적 위험은 낮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일 전
5.0
1명 평가
1
0
정말 감사해요
100
잉크
작성한 글
0개
받은 잉크 수
0
글 조회수
0회
잉크
최근 작성한 잉크 글이 없어요.
류경범 경제전문가
CELL
전문가 랭킹
학문 분야
-
경제 분야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