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성장판검사 어디서 해야할까요?

성장판이 열려있는지 닫혀있는지 궁금한 20살입니다 성장판이 열려있는지 닫혀있는지 검사할수있다고 하는데 어떤 병원을 가야할까요? 정형외과로 가면 성장판 연려있는지 닫혀있는지 알수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최연철 의사
    최연철 의사
    서울성모병원 소아응급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성장판 검사는 손목, 팔꿈치, 골반, 무릎 등의 관절을
    X-ray로 촬영해서 성장판이 열려있는지 확인하는 검사합니다.

    일반적으로 소아청소년과 또는 정형외과에서
    성장판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 되지만,
    방문하시기 전에 문의해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성장판은 엑스레이 검사에서 뼈의 끝 부분이 융합이 되었는지 여부를 통해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가 가능하다면 어느 병원에서나 가능하겠지만, 전문적인 상담을 위해서는 정형외과에 가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정형외과 방문 후 골연령 측정을 하시면 됩니다.

    골연령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잔여성장을 확인합니다. 인체의 뼈는 대부분 태생기에는 연골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가 점차 골 조직으로 치환됩니다. 그런데 골 조직으로 치환되는 부위와 그 범위는 개체의 연령에 비교적 비례하여 일정한 양상으로 전개됩니다. 따라서 각 연령대 별로 평균적인 골 치환 양상을 정리해 놓고 특정 개인이 어느 정도 연령에 해당하는지를 보는 것이 바로 골연령 측정 방법입니다. 골연령을 측정에는 대표적으로 4가지 방법이 이용되며, 각 방법에 장단점이 있어 연령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1. 그룰리히-파일 방법(Greulich-Pyle atlas, 1959)

    ㆍ 손목 주변의 뼈들이 성숙한 정도에 기반한 방법
    ㆍ 그룰리히-파일의 원본은 50년대 서양인을 대상으로 작성한 것이고, 한국인 대해서는 ‘한국인 소아의 골연령표’(연경모, 1999)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ㆍ 사춘기에는 손 부위의 뼈에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효용성이 적습니다.

    2. 소베그레인 방법(Sauvegrain, 1962)

    ㆍ 팔꿈치관절 전·후면 및 측면을 방사선 검사로 측정하는 방법
    ㆍ 사춘기에 유용합니다.

    3. 리서 방법(Risser, 1958)

    ㆍ 골반의 윗부분 뼈가 성숙한 정도로 측정합니다.
    ㆍ 사춘기의 2/3가 지난 후부터 성장이 끝날 때까지의 기간에만 적용할 수 있어 효용이 제한됩니다.

    4. 옥스포드(Oxford) 골반 골연령(Acheson, 1957)

    ㆍ 엉덩이관절 질환에서 골반부의 골연령을 측정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아과 전문의입니다 .일반적으로 성장판은 만 15세 전후에 완전히 닫히기 떄문에 열려있을 가능성이 없습니다. 손목 엑스레이 검사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고 보통 소아과에서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