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도롱이
도롱이

세균과 곰팡이는 모두 움직일 수 있나요?

균류인 곰팡이는 스스로 움직이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같은 균류인 버섯을 보더라도요.)

세균은 충치균을 보니까 움직이기는 것 같던데,

둘 다 움직일 수 있는지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세균은 많은 종류가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주로 편모(Flagella)라고 하는 길고 가느다란 부속기를 이용합니다. 편모를 통해 세균은 물이나 다른 액체 매체 속에서 스스로를 추진할 수 있습니다. 편모는 세균의 한쪽 끝에 붙어 있거나 몸 전체에 분포하여 세균이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세균은 화학적, 물리적 자극에 반응하여 화학적 물질을 향해 움직이는 화학주성(chemotaxis)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곰팡이는 자체적으로 움직일 수 없습니다. 곰팡이는 포자를 형성하여 번식하며, 이 포자들은 공기나 물에 의해 전파됩니다. 곰팡이의 신체 구조는 균사체(mycelium)라고 하는 실처럼 긴 세포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균사체는 환경 속에서 자라나면서 먹이원을 찾습니다. 그러나 이 균사체는 직접적으로 움직이지는 않으며, 환경 변화에 반응하여 성장 방향을 조절할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곰팡이는 스스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곰팡이는 환경 조건이 적합한 곳에서 자라고 번식하는데, 주로 환경 내의 영양소를 이용하여 성장합니다. 따라서, 곰팡이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영양소를 흡수하여 성장하며, 진폐식을 통해 번식합니다.

    세균은 일부 종류가 스스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균을 주로 "균충성 세균"이라고 부릅니다. 균충성 세균은 flagella라는 구조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서 움직이거나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세균의 생존과 번식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곰팡이는 주로 환경 속에서 영양소를 흡수하여 성장하고 번식하는 반면, 일부 세균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세균과 곰팡이는 모두 미생물이지만, 움직임의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세균은 자신의 힘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들은 편모나 섬모와 같은 운동 기관을 가지고 있어 능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충치 유발 세균인 연쇄상구균은 편모를 이용하여 치아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곰팡이는 스스로 움직이는 능력이 없습니다. 곰팡이는 균사체를 통해 기질 표면을 기어 다니며, 포자를 생산하여 바람이나 물의 움직임에 의해 전파됩니다. 버섯 등의 큰 균류도 마찬가지로 자력으로 움직일 순 없고, 외부의 힘에 의해 확산됩니다.

    따라서 세균은 자체적으로 운동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곰팡이는 수동적인 방식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세균과 곰팡이는 모두 움직일 수 있습니다. 세균은 단일 세포 생물체로 주변 환경에 따라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일부 세균은 주변 환경의 화학적 신호에 반응하여 움직이기도 합니다. 곰팡이는 다중 세포 생물체로서 주로 환경 조건에 따라 성장하고 번식합니다. 일부 곰팡이는 공기나 물을 통해 이동할 수 있으며, 환경 조건이 적절하면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번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충치를 예로 들어서 세균이 움직일수 있냐고 여쭈어보신것같습니다.

    충치는 먼저 입안의 치아에 남아 있는 음식물 찌꺼기, 박테리아, 세균, 바이러스, 침 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하여 치아를 부식시키는데 , 장시간 칫솔질, 양치질을 하지 않고 방치를 하게 된다면 충치를 일으키는 균이 달라붙어 발생할 확률이 급격히 올라가게 됩니다.

    균류나 곰팡이나 모두 스스로 움직인다고 보기 어렵고 바람이나 물, 수분을 타고 이동한다고 보시는게 좋을 것같습니다. 충치균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 streptococcus mutans 와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 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고 전염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주 기본적인 세균의 구조를 보면, 표면에 길게 뻗어나온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 보통 하나에서 둘 이상의 꼬리를 지니고 있으며 , 이것을 편모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어느정도 이동합니다. , 인간관점에서 보았을때는 먼지같은 이동속도지 않을까합니다. 구조상 곰팡이 역시 크게 다르지 않으며, 스스로 움직이는건 사실 무의미 하다고볼수있습니다

    일반적인 세균은 공기를 통하여 외부공기에 노출되고 부유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기침, 재채기, 대화 등은 이러한 균의 이동, 확산, 감염 을 도와줄 수 있는 동작들입니다.

    다음은 직접접촉입니다. 세균은 감염자, 동물, 도구 등의 직접적접촉을 함에 있어서도 주의하여야 합니다.

    셋째, 물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접시등을 세척하지 않고 두었을때가 있겠습니다.

    매개체를 통한 운반입니다. 세균의 운반에 관여하는 매개체를 벡터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가장 유명한 말라리아라는 질명은 모기를 통해 바이러스가 이동되기도 하고, 진드기같은 경우에는 라임병 세균을 옮기는 벡터입니다.

    위내용을 보시면 항상 적절한 위생관리, 예방수칙의 준수가 필요할 것입니다.

  • 네, 곰팡이와 세균은 운동 방식이 기본적으로 다릅니다.

    곰팡이는 균사라는 가늘고 긴 실 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근육이나 기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곰팡이는 접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즉, 곰팡이의 균사가 영양분을 찾아 주변으로 뻗어나가면서 곰팡이가 이동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세균은 반면에 편모이라는 작은 속눈썹 같은 기관을 가지고 있어 직접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편모를 이용하여 스스로 헤엄치거나, 표면을 미끄러지거나, 심지어 다른 생물에 달라붙어 이동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운동 능력 덕분에 세균은 영양분을 찾거나, 적대적인 환경에서 벗어나거나, 새로운 숙주를 감염시키는 데 유리합니다.

    충치균은 대표적인 세균이며, 편모를 이용하여 치아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플라그를 형성합니다. 플라그 속에 있는 세균들은 서로 협력하여 산을 만들어 치아를 녹이고 충치를 발생시킵니다.

    결론적으로 곰팡이는 스스로 움직일 수는 없지만 균사 성장과 포자 산포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세균은 편모를 가지고 있어 직접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영양분 탐색, 환경 적응, 감염 등에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원핵생물에 속하는 세균(박테리아)의 경우에는 편모의 회전운동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세균의 편모는 플라젤린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ATP가 ADP로 분해될 때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습니다. 또한 곰팡이는 진핵생물의 균류에 속하며, 곰팡이는 대부분 고정된 상태로 자라며, 직접적인 이동 능력은 없습니다. 다만 곰팡이는 포자를 생성하여 퍼집니다. 포자는 공기, 물, 동물 등을 통해 퍼져 나가 새로운 환경에 정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