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조선은 왜 불교를 탄압하교 유교를 앞세웠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은 왜 불교를 탄압한건가요?

조선은 고조선을 계승한걸로 알고 있는데, 그 뒤로 고구려-고려-조선... 이런순인데

고구려-고려까진 불교를 믿다가, 왜 조선에 와서 불교를 탄압한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 고려 말 상황은 군부의 핵심들이 왕권을 위협하며 난장판이었습니다. 거기에 당시 최영이라는 군부 핵심이 독점적 권한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었죠. 마지막까지 그와 대립하다 위화도 회군을 빌미로 역성혁명에 성공하고 당시 왕을 강제로 내리고 공양왕을 옹립했다가 결국에는 그도 파하고, 자신이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그 당시 기존 고려의 것을 멀리하고 새로운 개혁을 시도하기 위해 제일 먼저 국호를 바꾸는데 그것이 조선입니다.

      사실 조선은 과거의 고조선에서 따온 것이라기 보다는 과거에 썼던 조선이라는 이름을 가져다가 쓴 것입니다. 그래서 옛날의 조선과 근대의 조선을 구분하기 위해 고조선이라고 명명한 것이지 공식명칭은 조선이었습니다. 당시 동북아 강대국이었던 중국의 명나라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외교적으로 공식 국호로 사용하게 됩니다. (당시 힘이 없어서 명나라가 국가로 인정해야 했으니 짜증이 좀 나네요 ㅎ)

      그리고 조선의 건국은 사상적으로 불교가 아닌 성리학을 기반으로 세워진 나라입니다.

      고려 불교의 영향력이 강해져 고려 후기에 이르러 불교의 패해가 심해지고, 부패하여 권력화 되어 국가를 위기에 빠지게 했던 과오가 있었습니다. 조선의 건국 세력이었던 정도전과 그를 따르는 이들은 고려의 3대 악을 부패한 불교, 왕권을 위협하는 특정 군부세력, 그리고 유약한 왕권으로 규정하고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성리학의 반석 위에 나라를 세우기를 바랐습니다.

      이성계는 그것을 실현시켜 줄 도구였던 것이죠. 하지만 그 도구의 힘과 야망을 간과하였기에 이후에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하지만 조선 건국 후에도 태조 이성계, 정종, 태종 이방원으로 이어지면서 정도전의 바람대로 성리학을 기반으로 국가를 운영하고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반대로 불교를 억제하였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숭유억불 정책을 펼쳤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불교는 세속에서 멀어져가고 점점 산으로 산으로 가게 된 것입니다. 이처럼 불교의 몰락은 정치적인 이유와 불교계 자체의 부패가 이유였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불교를 금지시킨 것이 아니라 불교계에 지원하던 많은 혜택들을 몰수하였고, 이에 더 발전하지 못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조선 중기를 지나면서 국가의 전란 시에 승병 등이 국가에 기여하면서 명예를 회복해갔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숭유억불의 실상이 무조건 정치적

      보복 및 숙청 행위였다고 보기에는,

      진짜로 불교가 저지른 폐단이

      많았습니다. 고려 시절에는 불교와 유교가 상호 보완적으로 역할을 수행했는데

      그런데도 조선에 와서 억불 정책이

      생긴 것은 단순히 성리학의 교조화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정말 그렇다면 숭유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기 때문에

      조선 시대 내내 불교에 대한 비판이

      사대부들의 입에서 나온 것은, 고려 말의 폐단이 그만큼 심각했다는 반증입니다.

      출처:나무위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래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면 새로운 통치이념이 필요합니다. 기존의 통치이념을 전복시켜야 기존 기득권이 힘을 잃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고려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들여온 성리학적 질서에 바탕을 두고 세워진 나라였기때문에 현실적이였고 종교적인 색채가 강했던 불교를 억압하고 탄압하여 절이 산속으로 피신하게 되었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왕실에서 불교를 믿었지만 불씨잡변을 쓴 세조때 이후로는 왕실에서도 불교를 타파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선 조선은 고려 시대 불교 세력과의 갈등 속에서 탄생했기 때문에, 불교는 왕권에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조선은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받아들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습니다. 유교는 인간의 본성과 사회 질서에 대한 규범을 제시하고 국가와 국민에게 충성과 복종을 요구하는 거라 조선의 국력을 다지기에 필요했습니다.

      또 조선은 고려와 다르게 한민족의 순수성과 독립성을 강조했습니다. 불교는 외래 종교였기 때문에, 나라의 전통과 정체성에 부합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유교를 더 선호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