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순박한바다꿩18
순박한바다꿩18

인플레 정점이라는 그런 얘기가 있습니다. 앞으로 시장경제가 좋아질까요?

힘받는 인플레 정점론 … 무디스 "10월이 최고점"

전 세계 소비자물가는 올해 10월 전년 동기 대비 12.1% 상승해 정점을 찍고, 공급망 병목 현상이 완화됨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점차 누그러질 것이라는

얘기가 돌던데

현재 이런 말이 맞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프레이션이 어느 정도 정점에 이른 것은 주요국 관련 지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10월 CPI는 식음료와 에너지 부문이 여전히 높지만 전반적으로 7%대 후반으로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물가 하락 추세와 안정화가 경기가 좋아진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물가는 여러 재화의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된 가격들의 집합인데 근래는 경기 하강으로 수요 부족에 의한 가격 하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급망 병목 해소도 그만큼 교역량이 감소했다는 의미이며 이는 수요 감소로 표현해도 무방할 듯합니다.

      짧은 기간에 매우 빠른 속도로 금리를 올렸기 때문에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 인하 가용 범위가 커져서 미국, 한국 등 금리 인상에 나선 주요 국들의 당국은 경제 운영 관련한 운신의 폭은 넓어진 장점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소비자물가지수 등 주요 지수의 상승세가 꺾이면서 인플레의 피크에 다다랐다고 예상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직까지 속단할 상황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인플레이션은 언젠가 끝을 보게 되어있으며, 미국이나 우리나라 등 많은 국가에서 공격적인 금리인상정책을 시행한 만큼 어느정도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공공요금과 외식 등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이달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2023년 상반기에는 조금씩 물가가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번달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는 미국 CPI가

      발표됨에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나왔으나 현재도 7%가 넘는 물가상승을 보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긍정적인지만 경계를 늦추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