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역사서 동사강목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정복의 '동사강목'이 강목체 역사서 중 가장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받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의 작품이 우리 역사의 이해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 18세기에 실학자 순암 안정복이 쓴 역사서로 편년체 강목체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20권 20책으로 본편 17권 부록 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군조선에서 고려말까지를 편년체로 기술하였습니다. 주자의 자치통감강목의 형식에 따라 항목을 강과 목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책의 첫머리에는 이익의 글 한편과 저자의 머리말 목록 범례 전수도 지도 관직도가 실려있습니다. 책의 내용상 특징은 단군조선 기자조선 마한 통일신라 고려순으로 한국사의 정통으로 보고 있다는 점입니다. 마한이 들어가는 이유를 기자가 위만에게 패하여 남하해 마한왕이 되었다는 점이고 통일신라 시기 이전은 무통의 시기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발해를 우리역사에 넣지 않고 있으나 분량은 많아 역사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삼국사기나 동국통감을 비판하면서 사실을 바로 잡은 측면도 있으나 고중세 전쟁사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