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팬지 이름을 뜻할 때 왜 학명에 '동굴로 들어가다'를 뜻하는 트로글로디테스(Troglodytes)가 붙어있나요?
생물 이름을 부를 때 그리스어로 만든 학명인 트로글로디테스(Troglodytes)는 구멍으로 들어가다를 뜻하잖아요.
특히 구멍을 파는 새인 굴뚝새를 혁명으로 부를 때 트로글로디테스 트로글로디테스(Troglodytes troglodytes)라고 부르죠.
유인원인 침팬지는 정글에 사는 데 왜 학명에 '동굴로 들어가다'를 뜻하는 판 트로글로디테스(Pan Troglodytes)가 붙어있나요?
말씀하신대로 '트로글로디테스(Troglodytes)'는 그리스어로 '구멍으로 들어가다' 또는 '동굴 거주자'를 뜻하는 것이 맞습니다. 굴뚝새(Troglodytes troglodytes)의 학명에 이 단어가 사용된 것은 굴뚝새가 작은 틈이나 구멍, 둥지에 잘 숨어드는 습성 때문입니다.
그런데 침팬지 학명인 'Pan troglodytes'에 '트로글로디테스'가 붙은 이유는 침팬지가 동굴에 사는 것이 아니라, 이 학명을 처음 부여했던 학자들이 침팬지의 특정 습성이나 알려진 사실들을 바탕으로 지었기 때문입니다.
'요한 프리드리히 블루멘바흐'는 1779년에 그의 저서에서 침팬지를 'Simia troglodytes'라고 명명했습니다. 여기서 troglodytes'는 당시 그리스로마 지리학자들이 아프리카의 특정 부족들을 묘사할 때 사용했던 '동굴 거주자(Troglodytae)'라는 용어에서 따온 것입니다. 침팬지는 당시 유럽인들에게는 낯선 동물이었고, 원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면서 '동굴 거주자'라 표현한 것이죠.
또한, 린네는 1758년에 'Homo troglodytes'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는 인간과 오랑우탄의 가설적인 혼합을 지칭하는 것이었으며, 침팬지를 직접적으로 지칭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트로글로디테스'라는 개념이 당시 학계에서 원시적이거나 숨어 사는 존재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던 것과 어느정도 관련이 있습니다.
결국 결론적으로 보면 학명이 지어진 시기와 당시 지식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침팬지의 학명인 Pan troglodytes에 '동굴 거주자'를 뜻하는 'troglodytes'가 붙은 이유는 18세기 초, 유럽 학자들이 침팬지의 실제 서식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당시 알려진 침팬지에 대한 단편적인 기록을 바탕으로, 이들을 신화나 고대 로마 기록에 등장하는 '동굴에 사는 미개한 종족'과 동일시하며 학명을 붙인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실제 침팬지의 생활 방식과는 무관한, 당시의 오해에서 비롯된 이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