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1

번개가 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비 오는 날 흐린 날이 번개가 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번개가 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또, 번개의 강도는 얼마나 될까요? 번개가 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속에 들어있는 양극과 음극의 전기 전하들이 분리되며

    구름에는 음전하, 땅에는 양전하가 유도되며 번개기 치게 되는 것 입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3.01.21

    천둥 번개는 구름 속에 형성된 전기장 때문에 생성됩니다.

    구름 입자는 양전하, 음전하를 가지게 되는데 입자가 전하의 갯수를 맞추기 위해 이동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이것이 천둥 번개를 발생 시킵니다.

    그런데 이 구름 속의 전기장이 물방울과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먹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이나 작은 얼음들이 계속 부딪히며 얼음은 전자를 뺏기고 더 높은 곳으로 상승합니다.

    그러면 위쪽은 상대적으로 양전하, 아래쪽은 음전하를 가지게 되어 천둥 번개가 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과 번개를 일으키는 것은 적란운으로 불리는 소나기구름입니다.

    적란운은 위아래로 긴 구름으로 두께가 6~8킬로미터에 이르는데요.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낮은 고도에서는 물방울 그리고 꼭대기 근처에서는 얼음알갱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름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이 모인 덩어리로구름을 구성하는 물방울이 상승기류로 인해 파열되면 파열된 물방울은 양으로 대전되고 주위의 공기는 음으로 대전하게됩니다.보통 양으로 대전된 물방울은 위로 올라가고 음의 전하는 아래쪽에 머무는데, 이때 구름 속에 있는 양전기(+)와 음전기(-)가 서로 부딪치면서 또는 구름의 음전기와 지면의 양전기가 서로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전기가 번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