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 먹을때 왜 술을 먹으면 안되나요?
연말이라 회식이 잦은데 감기기운이 있어서 약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에 음주를 피하라고 하는데 피하기가 쉽지않네요. 어떤 부작용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감기약에는 보통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되어있고 해당 성분과 음주랑 같이 하게 되면 심한 간독성이 생깁니다.
그래서 가급적 감기약을 드시는 동안에는 음주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음주를 꼭 해야 한다면 감기약 복용 후 24시간 지난시점에서 소량의 음주는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감기약 중 아세트아미노펜 혹은 항히스타민제가 포함되어 있다면
음주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시 음주를 하시게되면 간손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항히스타민제 복용시 음주를 하시게되면 졸음, 어지러움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어떠한 약이든 약을 드실때는 술은 좋지 않습니다.
술은 염증을 유발시키면서 간에 부담을 주게 되므로 약을 드실때는 삼가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간 독성 때문입니다. 꼭 감기약이 아니더라도 약을 먹는 상황에서 알코올 까지 섭취하면 심각한 간 손상이 동반될 수 있고 약에 의한 효과도 떨어지며 일부 약은 진정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어 위험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감기약성분의 해독을 방해하여 간독성을 일으킬수도 있기때문입니다.
감기약 성분 중 아세트아미노펜이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감기약은 증상에 따라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열을 내리고 몸살 기운을 가라앉히는 해열진통제와 콧물 증상과 목이 간질거리는 증상을 완화하는 항히스타민제가 포함됩니다. 음주 후 해열진통제를 복용하면 간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졸음 부작용이 심해져 호흡 저하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주와 약은 24시간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