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MCA 원산지 규정 재검토 얘기 나오는데 자동차 업계는 괜찮은지요?
북미 쪽 원산지 규정이 바뀔 수도 있다고 하는데, 현지 투자 없는 업체들은 관세 혜택 못 받는 상황이 생길까요? 자동차 관련하신 분들 의견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USMCA 원산지 규정은 자동차 업계에 상당히 민감한 변수입니다. 현재도 역내 부가가치 기준이 높아서 북미 현지에 생산기지를 둔 기업이 아니면 관세 혜택을 받기 쉽지 않습니다. 재검토가 이뤄지면 부품의 역내 조달 비율이나 노동 임금 요건이 더 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에서 부품을 대량으로 들여다 쓰는 업체는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미 멕시코나 미국에 공장을 둔 기업은 오히려 규정이 강화될수록 경쟁력이 유지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USMCA 원산지 규정은 자동차 업계에 특히 민감한 사안인데요, 핵심 부품의 역내 생산 비율을 더 높이자는 재검토가 나오면 북미 현지 공장이나 공급망을 이미 구축한 기업들은 대응이 가능하지만, 국내 생산 비중이 큰 업체들은 혜택을 놓칠 위험이 있습니다. 관세 혜택을 못 받으면 가격 경쟁력이 바로 흔들리기 때문에, 일부 완성차 업체는 현지 조달 확대나 합작 투자 방식으로 대응 방안을 찾고 있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도 USMCA 규정은 맞추기가 쉽지 않기에 자동차 진출사들 입장에서는 난감한 상황입니다. 다만 이에 대하여 미국도 기준을 올리는 경우 미국차 수출이 어려워지고 아울러, 미국의 자동차 구매비용이 추가적으로 증가할 것이기에 이에대한 밸런스를 고민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