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우리몸이 각성이 되면 몸속에서 어떤 반응이 일어나나요?

우리가 커피를 마시거나 아니면 고도의 집중을 할 때면

몸이 각성 되었다 라고 표현하는데요

그런데 실제로 각성이 되면 우리 몸에서는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 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몸이 각성 상태가 되면 신경계와 내분비계에서 다양한 반응이 일어납니다.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서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어 심박수가 증가하고, 혈압이 상승하며, 혈류가 근육과 뇌로 집중됩니다. 동시에 동공이 확장되고, 소화 활동이 억제되며, 간에서 저장된 글리코겐이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은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해 피로 신호를 억제하고 도파민 방출을 촉진해 집중력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카페인과같은 각성제는 신경계에작용하는 피로물질을 방해하면서 각성을 만들어냅니다.

    그래서 피로물질이 계속쌓여도 우리는 피로감을 느끼지않고 계속 활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스트레스호르몬도 함께 분비가되면서 몸이점점 지쳐가는상태가됩니다. 그럼에도 뇌는 피로를 느끼지못하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카페인과 같은 각성물질이 체내에 흡수될 경우 인체를 직접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신경전달 물질의 생성 및 분비를 자극하는 역할을 통해 간접적으로 중추신경계를 자극하게 되는데요, 다시 말하면 두뇌와 척추 세포들의 활동을 억제하는 아데노신이라는 인체 내의 특정 화학물질의 활동을 저지함으로써 간접적인 자극제 역할을 합니다. 체내에서 어떤 물질이 화학작용을 하려면 고유한 장소에 결합해야만 가능한데요 그런데 체내에 흡수된 카페인은 일시적으로 신경흥분을 억제하는 물질인 아데노신이 결합하는 자리에 경쟁적으로 결합하게 됩니다. 쉽게 설명하면 체내에서 아데노신이 결합하여 흥분을 억제할 수 있는 자리가 열 개 있고 아데노신이 열 개 있을 경우, 아데노신만이 그 자리에 결합하여 신경흥분 억제작용이 최고에 달합니다. 그러나 카페인이 열 개 체내에 들어오면 아데노신과 자유경쟁을 하게 되고 결국 아데노신이 결합할 자리에 아데노신이 다섯 개, 카페인이 다섯 개 결합하게 되며 따라서 아데노신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어 신경흥분 억제 작용이 반으로 떨어지며 그 결과 신경세포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좋은점으로는 당연히 피로감이 덜 들게 되죠

    그리고 신진대사가 빨라지면서 몸에 있는 칼로리가 빨리 소모가 되요

  • 커피를 마시거나 집중할 때 우리가 느끼는 '각성'은 단순히 정신적인 상태 뿐만 아니라, 몸 전체에서 생리적인 변화가 나타나게 됩니다.

    가장 먼저 신경 전달 물질의 변화가 발생합니다.

    카페인의 경우 뇌에서 졸음을 유발하는 신경 전달 물질인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하여 졸음을 쫓아냅니다. 또한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이 증가하게 됩니다. 도파민은 쾌감과 보상, 동기 부여에 관여하는 신경 전달 물질로, 집중력을 높이고 활력을 증진시키며 노르에피네프린은 심박수와 혈압을 높이고,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몸을 활성화시킵니다.

    이어서 호르몬 역시 변화가 발생합니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증가하여 혈당을 높이고 에너지를 공급하여 활동을 촉진하고, 심박수와 혈압을 높이고, 근육에 산소를 공급하여 긴급 상황에 대비하게 하는 아드레날린 역시 증가하게 됩니다.

    그 결과 생리적 변화가 발생하는데 심박수 증가, 혈압 상승, 호흡 가속, 근육 긴장도 증가, 체온 상승, 소화 기능 저하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되죠.

    이러한 변화들은 뇌를 더욱 활발하게 활동하게 하고, 몸 전체의 에너지 수준을 높여 우리가 집중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각성상태는 우리몸의 피로물질이 신경작용을 방해하는것이 억제된 상태이기때문에, 피로물질은 쌓여가지만 인지하지못하게됩니다.

    각성상태가 풀리면 갑작스러운 피로감이 몰려오는 이유이기도합니다.

    또한 신경작용이 예민해져있기때문에 긴장상태에 돌입하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