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7.11

무서우면 왜 소름이 돋는 걸까요?

무서운 얘기를 하거나 들을 때 피부에 소름이 돋으면서 닭살이 돋는데요. 무서울 때 혹은 추울 때 멈애서 소름 또는 닭살이 돋는 반응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이 차가운 기운을 느끼면 생명에 위협을 감지한 뇌가 교감신경 스위치를 키죠.

    교감신경이 작동하면 몸에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는데, 그 중 하나가 체온 상승입니다. 체온을 높이기 위해 피부에서는 털 주위의 미세근육(입모근)이 수축하지요. 이 근육이 수축하면 털 주위의 피부가 솟아오르고, 털이 곧게 서게 되는겁니다. 털이 곧게 서 촘촘해지면 공기와 피부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체온이 손실되지 않도록 잡아둘 거구요. 그러면서 동시에 모공이 좁아져 열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름이 돋는 현상은 주로 공포, 놀람, 혹은 감동과 같은 강한 감정을 경험할 때 발생합니다. 소름이 돋는 것은 신체의 반응 중 하나로, 이는 심리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소름이 돋는 현상은 자율신경계의 일부인 상부 경추신경계의 반응입니다. 이 반응은 신체의 혈관을 수축시키고 모발 주위의 작은 근육을 긴장시킴으로써 일어납니다. 이러한 신체적인 변화는 신체 온도 조절과 보호 반응에 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공포나 놀람과 같은 강한 감정은 신체의 위협이나 위험 상황에 대한 경계 반응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소름이 돋는 것은 이러한 반응의 일부로서 신체가 긴장하고 경계하며, 생존에 도움이 되는 준비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서운 이야기를 들으면 긴장 상태가되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즉, 긴장 상태, 빠른 심장 박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땀샘이 자극되어 식은땀이 날 수도 있으며 이 땀이 식으며 오싹함을 느낄 수도있습니다. 이 때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근육이 수축되며 털이 쭈뼛쭈뼛스게되며 닭살과 소름이 돋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