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놀이

친절한코뿔소268
친절한코뿔소268

아이가 컴퓨터 게임을 너무 좋아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여

제 아이는 아니고

저희 조카 이야기인데요

조카가 중 2인데 하루종일 게임만 한다고 합니다

어떻게 훈육을 하는 것이 좋을지 자문을 구하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집에만 있으면 하루종일 핸드폰만 들여다 볼 것입니다.

    밖에서의 활동을 늘려야 합니다.

    가족 모두 저녁을 먹고 나서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 쇼핑 등을 하면서 집 안 보다는 밖에서 주로 활동하면 핸드폰을 가까이 하지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카분에게 공부나 아니면 다른 일을 마치고 난 후에

    포상의 개념으로 컴퓨터 게임을 하게 하여야 한다고 말을 해주세요.

    하루종일 게임하기 보다는 다른 의미있는 활동 등을 진행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게임을 너무 좋아한다면

    아이와의 협의를 통하여 게임시간을 1-2시간정도로

    제한하고 그정도만 게임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게임도 아이가 그안에서 관계를 맺고 아이만의 커뮤니티가 있기때문에 무조건 반대하는 것을 아이에게 반감을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게임을 하는 것을 방치하는 것도 좋지 못한 훈육이죠


    그렇기 때문에 아이와 대화를 통하여 적정 게임 시간을 서로 조절하고 그 시간만큼은 부모님도 최대한 터치하지 마시고 대신 아이가 시간을 어길 경우에 게임시간을 10분씩 줄인다거나 하는 방법으로 아이와 합의점을 찾아보시는 섯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이야기해서 컴퓨터 사용시간을 정해주는것이 좋습니다.

    너무 많이 하고 생활전반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면

    같이 시간을 정해주도록 하는것이 좋으며

    외부활동이나 다른 놀이를 같이 해주면서 다른 활동에도 흥미를 가지게 해주셔도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의 감시와 통제가 있어야 행동을 조절하는 아이들은 자율성과 자기통제력을 제때 익히지 못한 채 성인이 됩니다. 아이들은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선 의욕이나 책임감을 갖기 어렵습니다. 프로그램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움직이는 기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게임에 빠진 아이들의 시선을 게임 밖으로 돌리려면 ‘게임보다 좋은 게 얼마든지 있다’는 생각을 아이 스스로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적극성·주도성·자발성·책임감은 본인이 선택했을 때만 발휘되는 능력입니다. 문제는 다른 행동으로 대체할 동기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좋은 습관을 기르는 게 필요하다는 걸 머리론 알고 있지만 실행에 옮기는 덴 상당한 노력이 따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중2의 아이면 훈육을 했을때 오히려 관계가 더 악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아이와 이야길 해서 시간을 정하는것이 좋습니다.  간혹 부모들은 자녀보다 더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부모들의 생각을 강요하는 경우가 있는것을 조심해야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컴퓨터게임의 시간을 정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