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고려의 사심관 제도와 기인 제도는 무엇인가요?

고려가 건국하고 태조는 호족을 통제하고자 사심관 제도와 기인 제도를 도입했다고 하는데요. 두 제도의 의미와 효과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려를 건국한 왕건은 호족의 지원을 바탕으로 건국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을 통합하기 위해 결혼 정책, 사성 정책을 시행했지만, 지방 호족을 견제하기 위해 사심관제도와 기인제도를 시행했습니다.

    사심관 제도는 해당 지역의 출신 관료로 하여금 출신 지역의 사심관으로 임명하여 부호장 이하의 향직에 대한 임명권을 부여하였지만 반란 등이 일어나면 연대책임을 묻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기인제도는 호족의 자식을 왕도에 머물게 하여 인질로 삼는 제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고려는 건국 당시 지방의 호족세력을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중앙집권화에 있어서 여러가지 제약이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여러가지 제도들을 적용하게 되는데요. 먼저 기인제도는 지방호족의 자제들을 수도 개경으로 불러들여 지방행정의 고문 역할을 맡게한 제도인데 사실 인질을 데려다가 놓은 것이라 할 수 있고 이는 신라에도 있었으며, 중국 왕조에서도 이용하던 제도였습니다. 그리고 사심관제도는 중앙에서 고관이 되었던 자를 자신의 고향으로 사심관으로 보내어 지방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한 연대책임을 지게 함으로써 조금 더 중앙에서 지방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려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