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뽀얀호박벌187
뽀얀호박벌187

1년에 물가 상승률을 따라 가기 위한 방법

저번 슈카라는 경제 유튜버가 올린 영상을 봤는데 기준금리인 3.5%보다 2% 높은 5.5%의 자산 상승률이 있어야 최소한 인플레이션에 뒤처지지 않을 것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러면서 5.5%라는 상승률은 자신의 전체 자산에 곱해야 한다는 것이라고요.

그럼 기존에 1억이라는 자산이 있으면 550만원의 수익을 예금, 적금, 주식 등의 방법으로 얻어야 한다는 말인가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물가상승률 등을 넘어서는

      자산의 상승률이 있어야 나의 자산의 가치가 전년과 동일하다는 것으로

      1억이 있다면 550만원 이상의 수익이 나야 전년과 동일한 자산의 가치가

      있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네 맞습니다. 자산을 분배하여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적금,주식, 채권등으로 자산을 지속적으로 굴려야하고 자산을 불리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 매년 수익률을 올리는 것이 어려울 수 있지만 시도를 계속해야지 투자를 안하면 자산이 점점 감소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투자수익률은 본인의 자산전체를 분산투자하여 얻은 수익들의 가중평균한 값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율을 따라가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예금적금을 통해서는 힘들며 보통은 주식이나 펀드를 통해서 달성을 해주셔야 하는 목표값이라고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 수익률을 실질로 보느냐 명목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른데 실질은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수익률립니다.

      가령 투자 수익률이 3%이고 당해 물가 상승률이 2%라면 5% 이상의 수익률을 거둬야 손해를 보지 않습니다. 가령, 4% 수익률을 거뒀다면 1%만큼 손해를 본 것입니다.

      임금도 마찬가지입니다. 물가 상승률 보다 더 크게 인상되어야 실질임금이 오른 것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산술적으로만 본다면 1억의 자산이 있을 때, 550만원 정도의 수익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 맞습니다. 기본적으로 돈을 은행에만 넣어놓아도 이자수익이 있기 때문에 연 2~3%의 추가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만 찾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기 위한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정말 최악의 경우 자기의 자산이 물가 상승률 만큼을 따라서 증가되지 못하면

      실제로는 자산이 그대로 있는 것이 아니라 줄어든 것입니다.

      그렇기에 최소 물가 상승률 만큼은 자산도 올라줘야 하고

      더 좋은 것은 물가 상승률 이상으로 자산도 올라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