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이 개방 개혁 정책을 펼친 이유는 무엇인가요?
1985년 소련 공산당의 서기장 고르바초프는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라는 개방, 개혁 정책을 내세웠는데요. 사회주의 공산당 국가에서 이러한 정책을 펼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쟁 이후 소련은 강대국이 되었지만 국민들은 살기 힘들었습니다. 물자는 늘 부족했고 열심히 일한 사람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이 월급이 같아 열심히 일하려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자본주의를 받아들이기로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재건', '재편'의 뜻을 가진 러시아어로,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 3월 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취임한 후 실시한 개혁정책을 가리킨다. 소련의 정치뿐 아니라 세계 정치의 흐름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페레스트로이카 노선의 기본 특징은 글라스노스트와 문화면에서의 자유화, 복수정당제, 공산당과 소비에트의 기능 분리 및 복수입후보제 선거 등 정치체제의 민주화, 공산당으로부터 소비에트로의 권력 이양과 대통령 권력의 강화, 시장화에 의한 경제 재건, 군축 및 동서의 긴장 완화와 상호의존체제 확립 등이다.
고르바초프는 이 정책을 수행하면서 국내 정치면에서는 상상을 초월한 정치개혁을 실시하였고, 대외정책면에서는 긴장 완화와 군축정책을 실시하여 동구권의 체제 변혁과 냉전의 종식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국내경제면에서는 기업의 자립화나 시장경제화가 진전을 보지 못해, 인플레와 함께 국민생활이 어려워졌으며 민족문제가 발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 당시 소련은 낮은 생산성과 경제 침체, 미국과의 군비 경쟁 등으로 인해 많이 힘들었습니다. 고르바초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레스트로이카 하에서 경제 개혁을 시행했습니다. 시장 지향적 요소를 도입하고 민간 기업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소비에트 경제를 현대화하도록 장려하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이러한 개혁이 사회주의를 되살리려고 했으나 소련의 해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점이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