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고무신을 거꾸로 신었다는 게 왜 바람났다고 하는 건가요?
군대 간 남자 친구를 두고 다른 남자와 바람이 나면 '고무신 거꾸로 신었다'라고 표현하잖아요.
근데 다른 남자와 바람 난 걸 왜 고무신에 비유하는 건가요?
왜 고무신을 거꾸로 신은 게 바람과 관련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예전에는 바람을 폈다는게 고무신을 거꾸로 신었다는 말로 해석했었는데요 아주 오래전부터 나왔던 이야기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조금 반대로 군화를 거꾸로 신었다는 말도 하는 거고요
과거에는 바람피는 사람이
급하게 도망가느라 고무신을 거꾸로 신는다는 데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요즘엔 군인이 바람을 피면 군화를 거꾸로 신었다는 말을 하더라고요
질문에 결론은? 고무신과 바람은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바람피던 사람이 도망가면서 고무신을 거꾸로 신었다는 데에서 유래가 되었다는 거네요
고무사을 거꾸로 신었다는건 신발을 반대로 신었다는 뜻으로 예전에 고무신을 신고 다녔기에 다른 남자를 만날때 거꾸로 신었다 합니다. 옛 은유적 표현입니다.
신발이란 짝이 있어야하고, 셋트의 의미가 있는데 짝이, 샛트가 바뀌거나 했을때 여자 혹은 남자의 마음이 바뀌어 짝이 달라졌다는 의미로 보여지는거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