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이 맺히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생활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참많이 볼수 있는데요.
막상 보려고하면 이슬 맺힌경우를 볼수가 없네요.
혹시 이슬 맺힌 것을 보려면 어떤 날씨에 볼수 있고,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슬이 맺히는 현상은 공기가 포화 상태일 때 대기 중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어 이슬이 맺히게 됩니다. 이슬 현상을 볼 수 있는 조건은 대기 중 수증기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고, 대기 온도가 이슬점 이하일 때입니다. 이슬점은 현재 대기 중 수증기 농도에 따라 결정되는 온도로, 대기 중 수증기 농도가 높을수록 이슬점은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슬 현상을 볼 수 있는 조건은 상대 습도가 높은 날씨입니다. 특히, 밤이나 새벽에는 지표면이 냉각되어 대기 중 수증기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슬 현상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슬 현상은 또한 이른 아침이나 저녁 무렵, 잔디밭이나 식물 잎사귀 위에 많이 보입니다. 이는 식물이 물기를 머금은 상태에서 대기 중 수증기 농도가 높아져 이슬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슬은 공기 중의 습기가 액체로 변해서 생긴 것입니다.
낮에는 높았던 공기의 온도가 밤이 되면 내려가게 되는데 온도가 높은 낮에는 대부분의 수분이 수증기로 존재하고 있다가 기온이 내려감에 따라 액체로 변해서 물방울이 생기는 것입니다.
즉, 이슬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공기의 온도 변화입니다.
이런 이슬이 가장 잘 생기는 날씨는 낮과 밤의 온도차이가 심한 경우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슬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되어 액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수증기는 공기 중에 존재하며, 일정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이슬로 응결됩니다.이슬 형성은 보통 밤이나 이른 아침에 더 많이 관찰됩니다. 이 때 대기가 냉각되며 상대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슬이 맺히기 쉽습니다. 또한, 풍속이 낮아서 공기가 혼합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고립된 곳에서 이슬이 더 많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슬은 주로 이른 새벽에 쉽게 볼 수 있는데요..
낮동안 더운 열기가 지표면을 달구고 달궈진 지표면에서 올라오는 증기기체가 갑자기 온도가 낮아 지면 결로 현상처럼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요.. 이는..더운 공기중에 포화수증기가 대기 온도가 낮아짐으로인해 액체화 되는 현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로, 일교차가 심한 봄,가을에 흔히 볼 수 있고...이슬이 맺히더라도 해가 뜨면 금새 말라버리기 때문에 이른 새벽에 잎사귀를 보시면 됩니다. ㅎㅎ
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