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잎이나 나뭇잎에 이슬이 많이 맺혀있는 이유는?
이슬이 맺히는 현상은 식물이나 나뭇잎에 더 많이 맺혀 있는데 왜 잎사귀나 나뭇잎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일까요? 잎사귀 표면에 온도차가 있어서 그
련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풀잎 주변은 잎의 증산작용으로 인하여 공기 중의 다른 부분보다도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밤이 되어 복사열이 식게 되면 공기 중의 수분 함유량이 많은 식물 잎 주변에 액화현상이 더 많이 생기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풀잎이나 나뭇잎에 이슬이 맺히는 것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높은 상대 습도와 저온 환경에서 수분이 응축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이슬점이라는 기후학적 용어로 설명됩니다.
대기 중의 수증기는 공기 온도와 상대 습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공기가 충분히 차가워지고 상대 습도가 높아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이슬이나 서릿발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슬이 맺히는 표면은 주로 매우 적은 열이 방출되는 물체이며, 이는 대기 온도보다 낮아서 표면이 냉각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표면은 풀잎이나 나뭇잎과 같은 식물의 표면과 같이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일수록 이슬이 맺히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풀잎이나 나뭇잎에 이슬이 맺히는 것은 대기 온도와 상대 습도, 식물 표면의 냉각 효과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풀잎에는 물이 맺힐 수 있지만 땅과 같은 곳에서는 물이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공기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한 이슬은 풀잎과 땅에 모두 내리게 됩니다. 하지만 풀잎에서는 흡수 대신 맺히게 되지만 땅에서는 이슬이 흡수되기 때문에 나뭇잎이나 풀잎에 더 많아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슬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되어 물방울로 응축된 것을 말합니다. 이슬이 풀잎이나 나뭇잎에 많이 맺혀있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풀잎이나 나뭇잎의 표면 온도가 주변보다 낮기 때문에 수증기가 냉각되어 응축되어 이슬이 형성됩니다.
풀잎이나 나뭇잎의 표면이 매우 작아서, 대기 중에 수증기가 표면에 닿으면 바로 응축되어 이슬이 형성됩니다.
이슬이 많이 맺혀있는 날씨는 주로 고기압이 지배하는 맑은 가을이나 겨울철이며, 이 때 대기가 매우 건조합니다. 이에 따라 수증기가 대기 중에 더 많이 존재하고, 풀잎이나 나뭇잎에 더 많이 응축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새벽공기가차가워지고 잎도 차가워지며 주변수증기가 액화되기도하고, 식물의 기공에서 수분이 나와 뭉쳐 맺히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풀잎이나 나뭇잎에 이슬이 맺혀있는 현상은 이슬이라고 불리며,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공기 중의 물방울에 의해 포화 상태가 되어 이슬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슬이 맺히는 원리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의 표면에 충돌하여 수분이 물방울에 응집되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공기가 충분히 습하고, 풀이나 나무 등의 표면이 대기보다 낮은 온도에 노출되어 있을 때 발생합니다. 특히, 밤에는 지표면이 냉각되어 물방울이 더 많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슬은 밤-새벽으로 이어지는 동안의 온도변화와 관계가 많은데 똑같은 부피라도 더운 공기가 차가운 공기보 다 더 많은 수증기를 담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공기가 밤-새벽을 거치면서 갑자기 차가워지면 그 공기가 수증기를 담을 수 있는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증기의 일부가 비처럼 액체로 변하게 되고 이는 지표면에서 현상이 두드리지게 됩니다. 그래서 지표면 근처에 있는 식물 또는 물체들에 맺히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이슬은 밤과 낮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새벽녘쯤 산으로 가게 되면 바닥 또는 주변에 젖은 나무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