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0.04

어두운 곳에 가면 안 보이다가 나중에 되면 잘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갑자기 어두운 곳을 가게 되면 한동안 앞이 안 보이다가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면 잘 보이잖아요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군대에서 야간 사격할 때도 같은 경험이 있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것은 우리 눈의 동공과 상관이 있습니다.

    이 동공에 있는 망막은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을 하는데 갑자기 어두운 곳으로 갈 경우 빛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게 되어 처음에는 시야가 확보되지 않았다가 빛의 양을 조절하면서 적응이 되면 시야가 처음보다는 잘보이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눈은 동공에 의해 빛의 양을 조절하여 시야를 확보하게 됩니다. 갑자기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 또는 그 반대의 경우 빛의 양의 조절을 바로 전환하지 못하고 서서히 적응을 하게되기 때문에 그런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부 환경이 급격하게 바뀌게 되면 동공의 축소/확대가 급격하게 일어 납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눈이 보이지 않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두운 곳에 가면 처음에는 시야가 어두워서 물체를 잘 보기 어렵습니다. 이는 눈의 조도 감지 기능에 기인합니다.

    사람의 눈은 밝기를 감지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어두운 곳에 처음에 들어갈 때는 눈의 조도 감지 세포들이 활성화되어 시야가 어두워지는 것을 느낍니다. 이는 눈에 있는 망막의 빛 감지 세포들이 시간이 필요하여 어두운 상황에 적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눈의 빛 감지 세포들이 적응하여 빛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합니다. 이렇게 되면 더 많은 빛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를 잘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어두시각" 또는 "어둡게 적응"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우리의 눈이 어두운 환경에 적응하여 시야를 최적화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암순응이라는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갑작스럽게 어두운 환경에 노출될 경우 시신경이 감도를 조절할 시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약간의 지연이 발생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에 대한 노출도에 따른 동공의 확장과 수축이 이뤄지는데 약간의 시간이 필요로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두운 곳에 가면 안 보이다가 나중에 되면 잘 보이는 이유는 눈이 어둠에 적응하기 때문입니다.

    눈은 빛을 감지하는 세포인 광수용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광수용체는 크게 두 종류로, 망막의 바깥쪽에 있는 막대세포와 안쪽에 있는 원추세포로 나뉩니다. 막대세포는 어두운 곳에서 잘 작동하고, 원추세포는 밝은 곳에서 잘 작동합니다.

    어두운 곳에 가면 막대세포가 활성화되어 빛을 감지하기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막대세포가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막대세포가 더 많은 빛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에는 어둠에서도 잘 보이게 됩니다.

    막대세포는 원추세포에 비해 빛에 대한 민감도가 100배 이상 높습니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는 막대세포가 원추세포를 대신하여 빛을 감지하게 됩니다.

    어두운 곳에 가면 눈이 어둠에 적응하는 데 약 30분이 걸립니다. 이 시간 동안에는 눈을 깜빡이는 횟수를 줄이고, 밝은 빛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갑자기 어두운곳으로 가게 되면 눈이 어둠에 적응하는데 약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한점 빛이 없는 공간이 아니라면 눈이 적응하여 사물을 볼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갑자기 어두운 곳을 가게 되면 앞이 안 보이는 이유는, 눈의 시신경이 어둠에 적응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눈의 시신경은 빛을 감지하여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면, 시신경이 빛에 과다 노출되어 일시적으로 기능이 저하됩니다. 이로 인해 앞이 안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어두운 곳에서 시간이 지나면, 시신경이 어둠에 적응하여 기능을 회복하고 보이기 시작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