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중장염전이라는 병이 무엇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9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중장염전이라는 병을 조사중인데요. 이게 무엇인지 걸리는 원인과 치료법을 간략하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잘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배병제 외과 전문의
      배병제 외과 전문의
      국제성모병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태아가 산모의 뱃속에서 발생할 때 최초의 장이 만들어지는데, 이 장은 배꼽을 통해 태아의 몸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몸으로 들어오는 과정에 회전을 하게 됩니다. 이 회전과정에 문제가 발생해 소장이 꼬여버리는 상황을 중장염전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수술적으로 꼬인 장을 풀어주어야만 하고, 꼬인 장이 괴사되고 있다면 응급하게 수술해야 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중장염전(중십이지장염전)은 태아의 소장과 대장이 정상적인 과정으로 형성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정상적인 발생 과정에서는 상장간맥 동맥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장이 회전하면서 고정됩니다. 그러나 중장염전 환자에서는 이 회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소장이 새끼줄 모양으로 꼬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소장에 피가 공급되지 않아 장이 썩을 수 있는 초응급 상황입니다.

      중장염전은 보통 출생 직후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출생 후 첫 주 혹은 한 달 이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기가 녹색 내용물을 구토하거나 혈성구토를 하며 대변에 피가 섞이는 증상이 나타날 때, 신속한 의료 진료가 필요합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때로는 위장촬영이나 CT 촬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장염전은 응급 수술을 필요로 합니다. 꼬인 장을 풀어주고, 만약 장의 괴사가 발생했다면 해당 부분을 제거해야 합니다. 최대한 많은 양의 장을 보존하려 노력하지만, 괴사 정도에 따라 장의 일부 혹은 전체를 절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중장염전의 치료는 정확하고 신속한 응급 수술에 의존하며, 수술 후에도 추가적인 치료와 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중장염전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