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은혜로운다향제비154
은혜로운다향제비154

배당성향과 시가배당률의 정의가 궁금해요

나이
38
직업
직장인
성별
남성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기혼
월 수입 현황
500
희망 상담 분야
재무건전성 진단
월 가용자금
200
월 고정 지출 비용
200

이제 연말 막바지에 이르러서 주식들에 대한 배당금이 곧 나오게 될텐데 배당성향이랑 시가배당률의 정의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연말이 다가오면 주식 배당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데, 배당을 평가할 때 중요한 지표는 배당성향과 시가배당률입니다.

    배당성향은 기업의 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순이익이 1,000억 원이고 배당금이 200억 원이라면 배당성향은 20%입니다.

    배당성향이 높으면 이익을 많이 나눠준다는 의미지만, 너무 높으면 미래 성장에 필요한 재투자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반면 시가배당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로, 투자자가 받을 수 있는 배당 수익률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000원이고 1주당 배당금이 500원이면 시가배당률은 5%입니다. 시가 배당률이 높을 수록 투자 매력도가 커지지만, 주가 하락이 원인일 수 있으니 기업의 재무 상태를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

    결국 안정적인 배당을 원한다면 배당성향이 적절하고 시가배당률이 높으며 배당 지급이 꾸준한 기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성향은 회사의 순이익중 배당금 비율을 나타내고, 시가배당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 비율을 의미합니다.

  • 배당성향은 기업이 당기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기업이 번 돈 중 얼마를 배당금으로 지급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배당성향은 총 배당금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누어 비율로 나타낸 숫자입니다.

    시가배당률은 시가배당률은 기업의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투자자가 현재 주가로 주식을 매수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배당 수익률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배당성향은 내가 벌어들인 돈에 비해서 얼마만큼의 배당금을 결정하는지에 대한 수치를 말합니다

    • 시가배당율은 배당금과 현재 주가의 비율을 비교하여 결정되는 비율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성향은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배당 지급 여력이 높을수록 배당금을 많이 지급 할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하고 주주 환원정책을 잘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시가 배당률은 주식의 현재 시가를 기준으로 배당금을 평가하여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로 얻을 수 있는 연간 배당 수익율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로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참고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배당성향과 시가배당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당성향이란 당기순이익 중에서 배당금으로 나가는 비율을 배당성향이라고 하고

    시가배당률이란 배당금이 주가의 몇 퍼센트인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성향이란 당기순이익 중 배당금으로 나가는 비율로, 주당배당금÷주당순이익 계산합니다.

    그리고 시가배당률은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로, 주당배당금÷배당기준일 주가로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