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중 갈등으로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어떤 대응을 해야 할까요?
미국 정부가 중국을 대상으로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를 강화하면서 우리 무역기업들이 특정 장비의 수출 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상당한 지연과 비용 부담을 겪고 있습니다. 반도체 관련 부품을 중국에 공급하고 있는 회사들은 이 같은 규제가 장기화될 경우 계약 이행 차질과 대체 시장 확보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 차원에서 어떤 전략적 대응이 현실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반도체 기기 수출 통제 및 반도체 수출 통제에 대하여는 어쩔 수 없이 미국의 의견에 따라야된다고 생각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미국의 이러한 체제가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으나 현재 가장 강한 패권국이자 추가적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미국의 의견에 따르되 우회로가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중 갈등 속에서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가 강화되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특정 시장 의존도를 줄이는 방향입니다. 중국향 매출 비중이 크다면 다른 지역으로 판로를 넓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동남아나 인도 같은 신흥국 수요를 공략하거나 미국과 유럽의 공급망 협력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식이 거론됩니다. 규제가 까다로워진 만큼 수출 허가 절차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전담 인력을 두고 정부 기관과 긴밀히 협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 부품 단위로 기술 대체 가능성을 검토해 규제 품목에 해당하지 않는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는 전략도 현실적입니다. 대형 고객사와의 계약에서는 불가항력 조항을 명확히 해 리스크를 분담하는 협상도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중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 강화에 대응해 기업들은 중국 외 대체 시장 발굴이나 공급망 다변화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일부 기술의 미중 의존도가 있는 경우 이를 낮추기 위한 전략이 필요할 것이며, 국내 기술 개발과 국산화 추진으로 의존도를 줄이며 장기적 경쟁력 확보 전략을 병행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