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2.15

날씨 기상도를 보면 고기압과 저기압이 있습니다. 이 저기압과 고기압은 왜 발생하는 것입니까?

날씨 기상도를 보면 고기압과 저기압이 있습니다. 이 저기압과 고기압은 왜 발생하는 것입니까?

어떤 원인 인자에 의해서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저기압에 있으면 주로 구름과 비가 많이 오던데..

이 인자가 수분때문에 생기는 것인지 아니면 공기의 흐름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기압에 어떤 기준이 있는것이 아니고 상대적인 표현입니다.

    두개의 기압이 만날때 높은것은 고기압 낮은것은 저기압이 되는것이죠.

    이러한 기압차가 생기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형성되는 기류가 영향이 될 수도 있고 온도 차에 의한 대기순환에 따라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압의 차이는 밀도의 차이입니다. 무거운 쪽에서 가벼운 쪽으로 공기가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바로 고기압과 저기압의 기준이 되는겁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가 데워지면 밀도가 낮아져 상승하게 되는데요. 온도가 높은 지역은 이렇게 상층에 모인 공기가 많아져 고기압이 형성됩니다. 반대인 쪽은 저기압이 형성되고요.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처럼 공기도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분도 같이 이동되기 때문에 저기압인 지역에는 구름이 모여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고기압 저기압은 기본적으로 공기의 흐름때문에 생긴 것 입니다

    공기가 모여서 위로 올라가면 저기압

    공기가 빠져나가 밑으로 내려오면 고기압 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