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2.23

독점시장이 더 이로운 상황은 언제인가요?

일반적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독점하면 과도한 이익을 추구하여 소비자들이 큰 피해를 볼 수 있어서 안좋게 여겨집니다. 그런데 반대로 독점하고 있기에 이로운 상황이 있다고 하던데 그 예시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독점시장이 더 이로운 상황 독점을 하는 기업이 공공기관인 경우 이 독점으로 인해서 저렴하게 판매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경우에요. 이러한 예시가 바로 우리나라의 전기나 수도인데, 국가가 독점을 하고 있다 보니 다른 국가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전기나 수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독점기업은 장기간 높은 이윤을 누린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경쟁기업보다는 연구, 개발의 재원을 풍부하게 갖추게 되기 때문에 기술혁신을 이룸으로써 비용을 줄이고 가격을 인하할 수 있다.

    다만, 독점적 상황이 지속되고 견제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인프라 산업의 경우 독점 또는 독점적 과점이 오히려 국민 후생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자면 도로/항망/공항 등의 교통 인프라, 전력, 상하수도, 주거 주택, 교육 등의 분야에서는 일정 부분 공공의 성격을 갖춰야 서민들도 원활한 일상 생활이 가능하니 공기업 독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만, 민간 기업이 특정 산업이나 사업에 독점적 지위에 있을 경우 대부분 국민 후생은 후퇴합니다. 가격 결정권이 재화와 서비스 독점 공급 회사에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특정 업체가 독점한다면

    과도하게 가격 인상이 우려되는 등

    전기나 수도 등 이러한 것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독점은 일반적으로 경쟁을 억제하고 소비자에게 제한된 선택지를 제공하여 문제가 될 수 있지만, 특정 경우에는 독점이 이로운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몇 가지 예시가 있습니다:

    1. 효율적인 생산과 경제 규모의 이점: 독점 기업은 효율적인 생산과 경제 규모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일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면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의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혁신과 연구 개발: 독점 기업은 수익을 투자하여 혁신과 연구 개발에 더 많은 자금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의 개발에 도움이 되며, 기술적인 발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3. 특정 시장의 안정성과 신뢰성: 독점 기업이 특정 시장을 지배하면 해당 시장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이는 고객들이 일관된 품질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독점은 항상 긍정적인 상황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이에 대한 균형과 규제는 중요합니다. 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공정한 경쟁과 소비자 보호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