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자를 하고 싶은데 지금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금투자를 하고 싶은데
지금도 늦지 않았나요?? 지금 가격이 너무 오른듯한데 혹시나 꼭지일까봐 걱정입니다. 전문가들의 지심어린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은 인플레이션 , 달러 약세기에 강세를 보이는 안전자산입니다. 최근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여전히 보유가치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은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과거부터 희소성으로 인해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습니다.
현재도 많이 올랐다고 판단되지만 지속적으로 우상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수익은 줄어들수 있으나 늦었다고 보기에는 금이라는 상품의 가치가 높습니다.
모쪼록 투자에서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은 안전자산 성격이 강해 경기 불확실성이나 금리 인하 기대가 있을 때 가격이 오릅니다. 최근 가격이 많이 올라 고점 부담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장기적으론 여전히 변동성 완화와 자산 방어 효과 때문에 꾸준히 가져갈 수 있는 자산으로 평가됩니다. 단기 차익보다는 포트폴리오 일부로 분산 투자하는 접근이 좋고, 적립식으로 나눠 매수하면 꼭지에 몰리는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 투자는 지금 하시더라도 얼마든지 더 큰 수익을 내년 상반기까지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긍정적으로 바라보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과 같은 경우에도 변동성이
상당히 심한 자산이기에 개인적으로는
적립식 투자가 맞다고 보여지며
현재 상당히 높은 가격대는 맞기에
본인이 선택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은 아직도 상승 여력이 더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금리 하락에 따른 현금 가치 하락이 지속되고 실질 가치 상승이 가능하므로 금의 가격이 더 오를수 있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의 단기적인 향방은 알기는 힘들고 오히려 최근 몇달간 거래량도 증가하고 최고가를 지속적으로 찍으면서 오히려 가격 하락 압박이 더 큰 상황은 맞습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지속 상승할것으로 보이며 그 이유는 미국의 재정적자는 2040년까지 늘어날것으로 보이며 이는 근본적으로 달러의 신뢰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며 그리고 미국 정부의 기조는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인하추세의 기조세를 보이고 있고 연준또한 파월의장의 임기가 내년도 5월까지 라는 점이빈다. 그러면서 결국 트럼프의 인사쪽으로 의장이 될 가능성이 높고 이경우 오히려 금리 인하 컨센서스와 시장금리를 조절하는 형태의 일종의 YCC형태의 정책을 띌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결국 이는 달러유동성의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결국 금의 가격의 상승요인이므로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으로 금의 가격은 상승한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 투자 얘기할 때 늘 가격 얘기가 먼저 나오긴 합니다. 최근 금값은 인플레이션 우려나 각국 중앙은행 매수 때문에 꽤 올랐다고 합니다. 솔직히 지금 들어가면 꼭지 아닐까 걱정되는 마음 이해됩니다. 제 생각에는 장기 보유라면 여전히 방어 자산으로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다만 단기 차익을 노린다면 변동성이 있어서 불안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보통 달러 강세 약세랑 금의 반대 흐름을 주로 본다고 합니다. 지금 시점에선 분할 매수 같은 방식을 쓰는 게 조금은 현실적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금투자를 하고 싶다고 한다면 이것이 실사용인지 투자인지 파악하는것이 우선입니다. 실사용이면 지금 들어가는것이 맞고, 투자의 목적이라면 지금들어가는것이 단기적으로는 상승할지 알수없으나 장기적인부분에서는 상승할것이라고 생각하기에 이 점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 가격은 현재 고점 부근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불확실성의 확대는 금 가격을 견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추가적인 상승가능성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 투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금의 가치는 현재 고점으로 봐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높기 때문에
투자에 반드시 주의를 갖고 해야 합니다.
다만,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기준 금리 인하가 되고 있기에
어느 정도 더 오를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