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AI대표 협력사인 슈퍼마이크로의 주가가 이렇게 급락을 하는건가요?
최근 AI의 대표 업체인 엔비디아의 협력사 슈퍼마이크로가 있는데요 이들의 주가가 최근 20%이상 급락을 하는 하락 추세가 거센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서버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시장 예상치에 못 미치는 올해 2분기(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6일 CNBC에 따르면 이날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2분기 매출 53억1000만 달러(약 7조 2980억원), 주당 순이익 6.25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슈퍼 마이크로는 AI 서버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일부 부품 공급이 빠듯한 상황이 지속되며 이익률이 압박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AI 관련 버블도 있으면서
엔비디아와 관련된 슈퍼마이크로의 주가도 고평가를 받으면서 이에 따라서
엔비디아의 하락으로 슈퍼카이크로도 최근에 급락을 한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엔비디아의 AI 대표 협력사인 슈퍼마이크로의 주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붉어진 주가 폭락 사건의 이유 중에 하나가 AI 거품론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그런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AI 열풍을 타고 주가가 급등한 미 서버업체 슈퍼마이크로 컴퓨터의 2분기 실적 결과가 너무 부진했고, AI 서비스의 투자 대비 성과가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사업 수익성에 대한 우려로 증시가 안좋은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슈퍼마이크로 주가가 최근 20% 이상 급락한 주요 이유는 엔비디아 AI 칩 수요는 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공급망 문제와 배송 지연으로 슈퍼마이크로 제품 출하에 차질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시장 전반의 조정과 함께 고평가된 AI 관련 주식들이 하락하면서 투자자들이 이익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이 요인들이 결합되어 주가 하락을 초래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AI 인공지능 서버회사인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가 지난 4월 ~ 6월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에 미달하고, 매출총이익률이 사상 최저치로 떨어진것으로 확인되면서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는 낙관적인 매출액 공표 및 10대 1 주식 분할을 발표했지만 이걸로는 막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곧 나올 엔비디아의 주가도 상당히 궁금해지는 대목이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슈퍼마이크로의 주가가 최근 20% 이상 급락한 주요 원인은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슈퍼마이크로의 2024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한 점입니다.
매출은 예상에 근접했지만, 주당 순이익(EPS)이 시장 기대치보다 상당히 낮았습니다.
특히, 회사의 이익률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둘째, NVIDIA의 Blackwell 시스템 출하 지연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시스템은 슈퍼마이크로의 고수익 제품인 액체 냉각 서버에 중요한 수요를 창출하는데,
출하 지연이 발생하면서 단기적인 매출 감소가 예상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슈퍼마이크로가 이전 8분기 중 7번이나 사전 실적 발표를 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주었고, 주가 하락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슈퍼마이크로의 실적이 매우 안 좋게 나왔기 때문입니다. 매출액은 예상과 비슷하게 나왔지만 영업 이익이 예상에 비해 매우 낮게 나왔습니다. 그래서 주가도 시간외 13% 이상 빠지면서 급락 했었습니다
주식 분할을 발표할지만 그것도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이번의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40%증가하엿으나 예상대비 매출액도 적게 나왔고 특히 EPS가 예상 8.25달러에서 6.25달러가 나오며 크게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가이던스 매출전망은 상향되었지만 마진이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흐름을 이야기하면서 크게 주가가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엔비디아의 AI가속기의 대표 협력사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고 이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지만 이제는 높은 가격에 대한 헤게모니를 잃고 있다는 불안감이 커진 상황으로 보입니다
거기다 최근 나스닥의 급락과 엔비디아를 위시한 빅테크의 조정에 대해서도 큰 영향을 받는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