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많이일찍일어나는굉장히성실한사람
많이일찍일어나는굉장히성실한사람

야생 동물들의 동체시력은 어떻게 발달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야생 동물들의 동체시력은 정말 예측이라도 한 듯 어마어마 하던데 어떻게 그렇게 빨리 반응 할 수 있는 것인지, 우리 인간과 어떤 부분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인간은 야생 동물만큼의 동체시력으로 끌어 올릴 순 없는 구조 일까요?

전문가님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야생 동물들의 동체시력은 생존을 위해 자연스럽게 발달되었습니다. 포식자나 먹잇감을 빠르게 인식하고 반응해야 하기 때문에, 움직임에 민감한 시각 시스템이 진화한 것입니다. 이들은 시각 신경망과 근육 반응이 매우 빠르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간과 달리 주변 시야와 움직임에 더 민감합니다. 인간은 동체시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야생 동물처럼 극도로 발달시키기는 구조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인간도 훈련을 통해 반응 속도를 개선할 수 있지만, 구조적 한계로 인해 야생 동물 수준의 동체시력을 완전히 끌어올리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스포츠나 특정 훈련을 통해 시각적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는 있습니다.

  • 야생 동물, 특히 포식자들은 먹이를 쫓거나 위험을 감지하기 위해 시신경 세포의 밀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는 작은 움직임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반면 인간은 시야 전체를 고르게 인식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특정 부분에 대한 시신경 세포 밀도가 야생 동물만큼 높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야생 동물의 눈은 종종 빛을 잘 모아 어두운 곳에서도 잘 볼 수 있도록 진화했습니다. 또한,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눈의 위치가 다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먹이를 사냥하는 새들은 머리 양쪽에 눈이 있어 넓은 범위를 한 번에 볼 수 있습니다.

    또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부위는 동물 종에 따라 크기와 기능이 다릅니다. 야생 동물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고 반응하기 위해 시각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는 뇌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인간은 이미 진화된 신체 구조 때문에 야생 동물 수준의 동체시력을 갖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