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바이러스는 왜 생기며 변이를 하는 이유는 뭔가요?

저도 코로나 유해 때 두 차례나 걸린 적이 있고

엄청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시간별로 바이러스가 내 몸에 들어와서

하루 하루 증상 발현이 다르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린 적이 두 번이나 있으셨다니 정말 힘드셨을 것 같습니다. 바이러스가 내 몸에 들어와서 하루하루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죠. 바이러스가 왜 생기고 변이를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바이러스는 생물체가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생물체의 세포 안에서 번식하면서 생기게 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원래는 동물에게서 발견되었지만 인간에게도 전파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인간과 동물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쉽게 전파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바이러스는 유전자가 변이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안에서 번식할 때 매우 빠르게 복제되기 때문에 매우 많은 수의 바이러스가 생기게 됩니다. 이 때 매우 작은 확률로 유전자가 변이할 수 있고 이 변이는 바이러스의 특성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이는 바이러스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가 생기고 변이하는 이유는 인간과 동물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전파될 수 있게 되었고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에서 유전자 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바이러스는 계속해서 변이하며 새로운 변종이 나타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가 변이를 자주 일으키는 것은 근본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가 유전정보를 DNA가 아나리 RNA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DNA 바이러스가 아닌. 사람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생명체들은 유전정보를 DNA 구조로 가지고 있습니다. RNA 구조로 가지고 있는 경우는 매우 적은 수의 바이러스뿐입니다. RNA 바이러스가 복제할 때에 RNA 나 DNA로 변경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야 하는데 이과정에서 오류가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변형된 형태가 DNA 바이러스보다 매우 높은 빈도로 발생합니다.

      https://www.ksid.or.kr/rang_board/list.html?num=3415&code=ncov_faq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변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바이러스 자체가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DNA 기반 바이러스는 좀 덜하지만 RNA 기반 바이러스의 변이는 더욱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다른 생명체의 세포에서 기생하기 때문에 숙주의 성질에 맞게 바꾸는 능력이 발달 했으며 크기가 매우 작아서 자신의 유전자를 보호하는 기능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숙주의 유전자와 잘 섞이고 스스로 복제하는 과정에서 매우 빈번하게 오류가 일어나며 변이가 발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