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도심공동화 현상이란 무엇이고 왜 문제가 되는 것인가요?
경찰은 ‘도심 공동화 현상’에 따른 범죄 발생을 우려해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고 하는데, 도심공동화 현상이란 무엇이고 왜 문제가 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오잉eeeee입니다.
도심 공동화 현상이란, 유동인구는 많지만 상시 머무는 인원이 적은 것, 예를 들어 직장은 서울이지만 주거지역은 도심외곽(분당, 일산 등)인 경우, 도시가 성장할 때는 도시 중심부에 인구가 몰리지만 어느정도 성장한 후에는 다시 외곽으로 인구가 빠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야간에 유동인구가 적어 비교적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이유가 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주기적인 순찰을 통해 줄이려고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심한하늘소54입니다.
일반적으로 도심 공동화는 인구감소 등 영향으로 도심 내 주거·상업·업무 기능이 외곽으로 빠져 기존 도심 기능이 크게 약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가운데가 비었다고 해 ‘도넛 현상’으로도 부르죠. 휴가철 반짝 공동화 현상이나 빈집이 많은 주택가에서 범죄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