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도심공동화현상은 왜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중구나 종로구에 도심 공동화 현상이 발생한다는데
도심 공동화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발생하면 또 어떤 영향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도심공동화 현상은 도심지역의 주거기능 및 상어브업무기능이 외곽으로 이동되면서 도심기능이 크게 약화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현 서울에 도심공동화 현상은 이론적인 상황보다는 유입되는 인구는 많은데 비해 상주하는 인구 즉, 거주 인구가 점차 적어지고 외곽으로 이동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중구, 종로구에는 실거주하는 상주인구는 적고 업무나 상업을 위한 일시적인 유동인구만 증가하면서 점차 주거를 위한 인프라인 학교나 대형병원, 대형마트등이 사라지는 현상으로 보시는게 맞을듯 보입니다, 대표적으로 명동에 자리했던 백병원이 적자를 이유로 폐원한것도 이러한 현상의 한 결과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도심 공동화란?
도시 중심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도시의 발전과 땅값의 상승, 생활환경의 변화, 도시정책의 실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일어납니다.
이는 도시의 기능과 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문화유산의 파괴, 치안의 악화, 교통의 혼잡, 도시 서비스의 저하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