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3.12.03

위정척사운동은 무슨 운동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위정척사운동이 있던데요~ 이 위정척사운동은 무슨 운동을 말하는 것인가요? 역사공부에 재미가 붙은거 같습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0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부가 추진하는 개화 정책에 반대하는 세력에 많은 유생들은 일본을 서양 세력과 동일시하여 오랑캐라 여겼고 그들과 교역하는 것을 반대하는 운동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운동을 위정척사 운동이라고 합니다. 위정척사란 바른 것을 지키고, 사악한 것을 배척한다는 뜻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란 단순한 의미로 옳른 것(정)은 지키고 사악한 것(사)은 배척한다는 의미입니다. 위정척사 운동의 발발 배경은 근대화 시기에 제국주의 침략과 통상, 개화 분위기에서 유생들이 주도하여 시작된 것입니다.

    1860년대 서양의 통상 요구에 기정진, 이항로 선생이 통상 반대를 주장하다 '척화주전론'으로 발전하며, 흥선대원군의 대외 정책의 지지 기반이 되었습니다. 1875년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강화도 조약이 체결에 대해 최익현 선생이 '5불가론'을 바탕으로 개항 불가를 주장하고, '왜양일체'를 강조하였습니다. 1880년에 조선책략이 유포되고 본격적으로 개화정책이 추진되자 이만손 등이 '영남만인소' 등을 주장하며 개화정책에 반대합니다.

    위정척사 운동은 개화의 장애가 되었지만 제국주의의 침략을 인식하고, 훗날 의병 항쟁의 바탕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운동은 조선의 전통적인 사상을 지키고 서양 사상을 물리치자는 운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는 조선 말기 일어난 사회운동으로 정학인 성리학과 정도인 성리학적 질서를 수호하고 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사학으로 보아 배격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 19세기 말에 위정척사운동이 전개됩니다. 올바른 것은 지키고 사악한 것은 배척하자는 운동으로 정학인 성리학을 바탕으로 하고 서학인 천주교는 배척하자는 운동입니다. 자주민족정신과 의리정신 그리고 호국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최익현 이항로 기정진 등이 핵심인물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말기에 일어난 사회운동으로, 정학(正學)인 성리학과 정도(正道)인 성리학적 질서를 수호하고(위정), 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사학(邪學)으로 보아서 배격하는(척사) 운동 입니다. 이 운동을 하는 정치 세력을 위정척사파 또는 척사위정파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흥선 대원군의 쇄국 정책과도 일맥 상통 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운동이란 간단하게 말해서 조선의 전통적인 사상을 지키고 서양 사상을 물리치자는 운동입니다. 처음에는 서학에 반대하다가 차츰 서양과의 통상 반대 운동으로 발전하고, 후에 일본에 맞선 항일 의병 운동으로 나아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