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순한고릴라182
순한고릴라182

정기예금은 복리로 이자를 쳐주는건지궁금합니다.

요즘 예금에대해 관심이생겨서 찾아보니 예금투자개월수 2년 연이자 3퍼 이런식이던데

투자개월수가 2년이면 1년에 3퍼를 주고 복리를 해주는건지 아니면 2년 꽉채우면 단리로 3% 주는건지 궁금합니다. 차라리 이렇게 이자가 낮으면 주식투자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수있을거같아서 고민차 여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질문해주신 정기예금의 이자는 복리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복리이자에 대한 언급이 없는 한

    무조건 단리이자로 판단하셔야 합니다.

    즉, 예금 기간이 2년 3년 이어도

    단리이자를 2번, 3번 주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예금 투자에서 2년 동안 연이자 3%를 준다는 건 매년 3%씩 이자를 준다는 뜻입니다. 복리로 주면 매년 받은 이자에도 이자가 붙지만 단리로 주면 처음 투자한 돈에만 이자가 붙습니다. 이자가 낮아 주식투자를 고민한다면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잇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크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단리입니다 년이자를 연간 원금에 곱하기를 하고 1년, 2년 합치는 것입니다

    저는 미국주식에 etf를 합니다 월배당으로 약 연간12프로입니다

  • 정기예금의 경우 '상품약관'을 자세히 보셔야 하는데, 다만 일반적인 정기예금의 경우에는 복리이자가 아니라 단리이자로서 연간 이자를 계산하여 지급하게 되요

  • 정기예금의 경우 현재 금융권에서는 대부분 단리 상품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상품명 자체에 '복리'라는 이름이 붙어 있거나, 아니면 따로 은행원이 복리라고 설명해주지 않는 이상,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단리상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일반적으로 정기예금은 단리로 이자를 지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하고 지급하는 방식이며, 복리는 원금과 이자가 함께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 예금 상품의 이자율은 해당 상품의 조건과 계약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투자개월수가 2년이라고 하면 2년 동안에 연이율이 3%로 적용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에는 복리로 이자가 지급됩니다.

    복리로 이자가 계산되면 매년 이자가 발생하고, 그 이자도 원금에 합산되어 추가 이자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2년간 투자한 경우에는 1년마다 이자가 발생하고, 그 이자도 다시 원금에 합산되어 추가 이자가 발생합니다.

  • 위와 같은 경우에는 해당 예금의 약관에서 월복리 등의 명시가 있다면 복리를 적용해줄 것이나 그렇지 않다면 단리일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 2년 연이자 3%인 경우 1년이 되면 3%를 주고, 추가적으로 1년을 더 유지하면 3%를 준다는 것으로써 대부분 복리가 아닌 '단리'로 적용이 됩니다. 따라서, 이자율이 높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투자를 해주시는 게 자산형성에 있어서는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은행 정기예금은 단리 상품입니다.

    만기에 이자율만큼 이자를 지급합니다.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자금의 대부분은 안전한 예금을 이용하시되, 소액 일부 금액은 투자에 관심을 가져 보실 것을 권고드립니다.위험이 큰 만큼 수익률은 높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공부가 된다는 것입니다.

    반드시 아주 소액으로 시작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 복리로 계산이 됩니다

    • 만약에 단리로 계산이 된다면 매달 계산된 이자만큼 별도의 통장으로 지급이 될 것입니다.

    • 매달 이자를 받지 못한다면 복리로 계산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