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복제 동물인 돌리는 원래 있는 돌리랑 행동이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생명체는 로봇과 다른게 생각을 하게 되잖아요~ 그러다 보니 상황에 따라 다른 생각과 행동을 할수 있을거 같은데요~ 복제 동물인 돌리는 원래 돌리랑 행동이 같은 행동을 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복제동물 돌리는 1996년에 전 세계적으로 첫 성공적인 포유류 복제 동물로 전 세계적인 이슈였습니다. 체세포를 통한 복제 기술은 매우 인상적이었구요. 유전적인 코드는 돌리 체세포 기증 동물과 동일 합니다. 그러나 행동이라는 것은 타고난 것 또한 있으나 사회적 또는 상호 유대관계 등을 통한 후천적인-외부 조건-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쌍둥이 중 서로 다른 국가로 입양된 자녀가 생김새는 매우 비슷하지만 언어나 행동, 습관이 전혀 다른 것이 인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 복제 동물인 돌리와 원래 돌리 사이에는 행동상의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비록 유전적으로 동일한 복제체이지만, 환경과 경험의 차이로 인해 성격과 행동 양식이 다소 달랐다고 합니다.

    원래 돌리는 양육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예민하고 공격적인 성향이 있었지만, 복제 돌리는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랐기에 보다 온순한 성격을 보였습니다. 또한 원래 돌리는 목장 생활에 익숙했지만 복제 돌리는 실내에서 자랐기에 실외 활동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처럼 동일한 유전자를 갖고 있더라도 개체가 처한 환경과 경험에 따라 행동 양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복제 동물의 경우에도 원본 개체와 꼭 같은 행동을 보이지는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1996년 7월 5일에 돌리(Dolly)라는 이름을 가진 양이 태어났는데요, 이 양은 6년생 양의 성체 체세포를 이용하여 복제된 최초의 동물입니다. 핀란드 양의 유선 체세포를 굶겨서 세포 활동을 정지시킨 후, 이를 다른 ‘검은’ 암양의 탈핵 난자에 이식하고 전기충격을 가하며 세포 재분열을 유발시켜 만들었으며 연구팀은 200번이 넘는 시도 끝에 대리모 자궁 이식에 성공하였고 세계 최초의 포유동물 복제를 성공시켰습니다. 이는 유선 세포를 이용한 세포 복제였기에 가슴으로 유명했던 돌리 파튼(Dolly Parton)의 이름을 따서 새로 태어난 양은 ‘돌리’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습니다. 모체의 체세포로 얻은 복제 동물이라도 항상 똑같은 외모나 행동 패턴을 보이지 않았는데요, 이는 DNA의 염기서열이 변화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유전자 발현의 조절인 후생유전적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후성유전학과 관련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돌리를 복제하는데 사용한 모체 양의 세포는 핀란드의 성체 양의 젖샘세포에서 추출하였다고 합니다.

    복제양 돌리와 모체가된 핀란드 양의 행동을 비교한 구체적인 자료를 찾지 못하였지만

    돌리의 경우도 다른 양들과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행동을 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일한 유전자를 가졌으므로 양으로의 행동이나 성격, 일부 행동패턴 등은 모체가 된 양과 유사했을 것입니다.

    또 6마리의 새끼를 자연임신으로 낳았기 때문에 이런 부분도 일반 양들과 같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각 개체별의 특성은 모체의 양과 달랐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런 부분은 환경적 요인, 경험과 학습, 건강상태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복제양 돌리는 모체가 된 양과는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자랐고

    다른 양에비해 건강상태가 빠르게 악화(노화가 이른 나이에 찾아옴)되어 양들의 평균수명의 절반인 6세에 안락사되었기 때문에 행동은 많이 달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 동일한 환경에 처할 경우 비슷한 결의 생각과 행동을 할 수는 있으나 유전자가 동일하다고 생각과 행동이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비슷한 예로 일란성 쌍둥이가 있는데, 복제동물 다음으로 개체 간 유전자 일치 정도가 유사하고, 발병하는 유전질환들이 비슷한 결을 따르긴 하지만, 둘은 엄연히 서로 다른 개체로 취급됩니다. 즉, 행동이 동일하지 않습니다.

  • 복제 양 돌리는 원래의 돌리와 유전적으로 동일했지만, 행동에서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복제 과정에서 돌리는 기증자 양의 세포를 사용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유전적으로는 동일했지만, 행동은 환경, 경험, 그리고 개별적인 발달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제된 동물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행동이 원본과 정확히 같을 것이라고 가정하기는 어려우며 실제로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즉, 복제 기술은 유전적 복제를 가능하게 하지만, 개체의 성격이나 행동까지 동일하게 복제한다는 보장은 없으며 돌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복제 동물인 돌리는 원래 돌리와 DNA 상으로는 100% 동일하지만 행동 및 성격 등은 다르며 과학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다른 동물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