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아임유얼마더
아임유얼마더

열이 39.8도인 아기.. 처지는지 여부가 중요한 이유?

성별
여성
나이대
3

안녕하세요.

아기 고열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이번에 아기가 코로나에 걸려

3일 정도 고열에 시달렸는데요.

119에 자문을 구할때도, 의사 간호사분들도

아기가 처지는지 여부를 꼭 물어보시더라고요.

똑같이 40도의 열이 나는 아기라도

잘 먹고 잘 노는 아기와

자꾸 처지는 증상이 있는 아기는 다른가요?

다르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다시 40도 가까이의 고열이 날 경우,

아기가 크게 처지지 않고 논다면

응급실 등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해열제 먹이며 상태를 지켜봐도 되는 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고열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진료를 보는 것이 안전하지만 아이가 잘먹고 대소변을 잘보고 잘 논다면 일반적인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등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임상 상황이며 이는 감염을 잘 이겨내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되므로 해열제만 복용 후 경과를 관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처지거나 잠만 잔다면 이는 감염증등이 심하거나 패혈증, 뇌수막염 등 다양한 원인을 의심해 볼 수 있는 상황이므로 혈액 검사, 요검사 경우에 따라 뇌척수액 검사등을 통해 원인을 밝히고 조기에 항생제 등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해당 사항을 잘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잘 놀더라도 해열제에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 발열이 무엇이 원인이 되었든 간에 아이의 컨디션이 양호하다면 발열을 조절하며 경과를 지켜볼 수 있지만 컨디션이 처진다면 상태가 심각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컨디션을 우선 파악합니다.

    • 열이 높은 경우 탈수나 열성경련등이 동반된다면 더욱 더 응급한 상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열이 40도인데 잘놀고 잘먹는 아이가 있을 가능성은 없긴하겠지만 응급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해서 물어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어른도 발열이 있을때는 처지고 아프고 힘듭니다. 아이도 마찬가지로 발열시에는 처지고 아프고 힘듭니다.

      아이가 발열이 있을때는 처질 수 있으나, 발열이 없음에도 처지는 경우에는 상태가 많이 안좋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하여 열이 나는데 집에서 임의로 관찰하라는 것은 아닙니다.

      처진다 아니다 하는 것이 상당히 주관적이므로, 이상 여부는 다른 객관적인 피검사 영상검사 및 신체검사 등을 통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