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마켓에 수출을 하고 현지에서 통관 및 배송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나요?
아마존 같은 오픈마켓에 납품하기 위해 한국에서 수출을 할때
통관은 일반통관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나요?
아울러 현지에서 통관 및 배송을 할 때에 어떤 제약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현지 통관절차는 현지 국가의 관세법에 따른 통관절차에 따라 수입신고가 진행됩니다. 따라서 해당 국가의 정책과 쇼핑몰의 정책을 사전에 확인하신 후에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거래 형태에 따라 다를 듯 합니다. 보통은 한국에서 배송을 보내는 경우에는 수취인에게 물품을 직배송하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미국법상 800불 이하의 물품에 대하여는 해외직구면세가 적용되기에 수취인이 별도의 수입신고 및 관부가세 없이 물품을 받아볼 수 있게 됩니다. 반면에 미국내에서 배송하기 위하여는 직접 미국으로 수출입통관 및 관부가세 납부가 필요한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수출통관은 일반 수출물품과 동일하게 수출됩니다.
현지 통관 및 배송은 현재의 사정에 따라 결정됩니다.
계약에 따라 수출자가 통관 및 배송 등을 책임지는 경우가 있으며, 계약 시 통관이나 배송 등도 확인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배송은 해상운송이나 항공운송으로 이뤄지며, 수입국 내 배송방법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통관의 경우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관세사나 대행처를 통해 진행됩니다. 외국의 경우에도 우리나라와 같이 비관세장벽 등이 있으므로 통관 관련 사항도 사전에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해외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 전자상거래에서 외국인이 구매하는 경우라면 전자상거래 수출신고서를 작성하면 일반 수출신고서보다 간소화되어 쉽게 가능합니다. 다만, 문의하신 아마존 납품건이 아마존 FBA 입고 관련이라면 일반 수출신고서에 거래구분을 17(전자상거래 풀필먼트 수출)로 진행해야 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수출통관이 끝나고 선적된 물품의 해외에서의 통관은 해외 현지의 통관절차 및 법률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들어 아마존 물품의 경우에는 현지 fba팡고로 입고되어 해당 창고에서 물품판매시 통관절차 및 면세한도를 결정한 뒤 반출되어 최종고객에게 배송됩니다.
감사합니다.
현지의 통관제도는 국가별로 상이하며 해당 국가의 전자상거래 통관제도 등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마존의 경우 FBA(Fullfillment By Amazon)에 의한 수출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수출자가 수입통관절차를 미리 수행하고 아마존의 FBA창고에서 판매가 되면 바로 미국 내로 납품이 이루어지는 체계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오픈마켓에서 해외 판매 시 통관 및 배송은 판매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소량의 작은 부피에 해당하는 물품의 경우에는 DHL, Fedex등 특송업체를 통해 운송과 통관까지 일괄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EMS를 이용하여 비용절감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아마존의 경우에는 FBA(Fulfillment by Amazon)를 이용하여 판매자가 제품을 아마존 창고에 보내면 아마존이 주문 처리, 포장, 배송, 고객 서비스까지 모든 것을 처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마존과 같은 오픈마켓을 통해 해외로 물품을 수출할 때에도 일반적인 수출을 진행하는 것과 동일하게 일반 수출통관을 진행하면 됩니다. 수출통관은 국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진행이 가능하지만, 해외에서의 수입 통관 및 현지 물류의 경우에는 현지의 도움을 받아야하므로 이를 잘 알고 있는 포워딩회사나 물류회사를 섭외하여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현지 관세사 등의 업무를 보는 인원도 있으므로 현지 국내법에 따라 인증이나 검역을 받아야하는 제품인지를 미리 여부를 확인하여 수출을 진행하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