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순한줄나비22
순한줄나비2223.04.12

신생아와 고양이 함께 키우는건 어떤가요?

나이
6살
성별
수컷
반려동물 종류
고양이
품종
아비시니안
중성화 수술
1회

이제 곧 아이가 태어나는데 고양이를 함께 키우고 있습니다. 고양이는 공동육아의 습성을 가지고 있다는데 신생아와 고양이 함께 키우는건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저라면 만약에 저의 아이가 태어난다고 한다면 저는 고양이를 절대 키우지 않을 것입니다.

    물론 기존에 키웠을 경우에는 어쩔 수 없지만 저는 그래도 제 아이가 어느 정도 성장할 때까지는 고양이와 아이를 격리시킬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신생아의 경우 호흡기가 정말로 예민하고 약합니다. 근데 고양이가 같이 있는 경우에는 털이나 고양이의 각질 성분이 신생아이의 호흡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저는 절대로 신생아와 고양이를 같은 환경에 두지 않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고양이들과 대체로 잘 지내지만, 항상 예외는 있으며 조심은 해주셔야 합니다.

    고양이들은 본디 영역동물이며 자신의 영역을 지키고 중요시합니다.

    간혹 아기에게 공격성향을 드러내는 고양이들도 있기는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시간내어 좋아요 추천 한번 씩 눌러주시면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신생아와 고양이를 함께 하는 것은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동물들 세계뿐만 아니라 사람의 세계에서 우위를 하고자 하는 그런 생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동물의 세계에서는 순위를 반드시 정하는 그런 버릇이 있습니다 주인을 볼 때도 1순위 주인 2순위 주인 3순위 주인 이렇게 자기 나름대로 정하여서 그렇게 대하는 것을 볼 때가 많이 있습니다 아기가 태어나면 고양이는 아기를 자기 밑에 순위로 두고 대하기 때문에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할 수만 있다면 격리를 시켰어 아기가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는 함께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12

    안녕하세요. 박예신 수의사입니다.

    냥이의 평소 성격이 가장 중요할것 같은데요, 평소보호자님을 물거나 할퀸다면 아이에게도 위협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이 키우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냥이 성격이 착하다면 처음에 아기에게 적응할때까지 아기와 격리해놓고 아기의 냄새가 뭍은 물건들 냄새를 맡게 해주는게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태어날 아기가 고양이 알러지가 없는거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동양에서는 비추하지만 서양에서는 주로 추천합니다.

    https://diamed.tistory.com/407

    동양은 잘못된 미신이 아직 많은 부분을 지배하고 있고

    서양은 통계적인 근거를 두고 말하고 있으니 서양쪽 자료를 준용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같이 키우는 것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는 알려져 있으나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합니다. 고양이와 신생아가 함께 지내면 신생아의 면역력이 증가하고, 아토피나 천식 등의 만성 질환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고양이로부터 감염될 수 있는 병은 매우 낮은 확률로 걸릴 수 있으며, 고양이의 배설물을 치우고 손을 깨끗이 씻으면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고양이가 신생아를 공격하거나 할퀼 수 있으니, 고양이가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고양이에게도 관심과 애정을 주어야 합니다. 고양이 알레르기는 병원에서 검사를 받거나, 고양이가 핥은 부위가 빨갛게 반응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알 수 있습니다.

    고양이와 신생아를 같이 키우는 것은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에 따라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