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사 시험 난이도가 어느정도 되나요?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등 전문직 계열에선 노무사나 법무사가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는 것 같은데 그만큼 노무사 시험이 상대적으로 쉬운건가요?
전문직에 관해 얘기할 때 노무사에 대한 언급은 적은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Nick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기본적으로 공인노무사 시험은 쉽지않은 시험이며시험준비기간의 경우에는 개인마다 너무나 판이하게 다릅니다.
물론 한번에 1차 및 2차를 동시합격하시는 케이스도 적지 않게 있겠지만 반대로 2년이상 걸리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우선 현재까지 1차 시험의 합격률 높은 편이나 (2019년 기준 47.33%) 2차 시험은 난위도가 높아서 (2019년 기준 9.37%며 2016-2019까지 합격율을 10% 미만임) 공부할 분량이 상당해서 기본적인 노동법이나 법률지식이 있으신분들이 아니라면 보통 2년정도는 시간을 잡고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은듯 합니다.
특히 2차시험을 보면 노동법 과목에는 아래와 같은 과목들이 있는데 노동법 영역이 광범위하고 결코 변호사 및 세무사 시험보다 쉽다고 할수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노동법 (150점 4문제): 「근로기준법」,「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산업안전보건법」,「산업재해보상보험법」,「고용보험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노동위원회법」,「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인사노무관리론 (100점 3문제)
선택 과목 (100점 3문제): 경영조직론, 노동경제학, 민사소송법 중 택1
결론적으로 공인노무사 시험이 상대적으로 변호사 및 세무사 시험보다 쉽다고는 말할수 없으며, 다만 변호사나 세무사 자격증보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는 큰 이유중 하나는 현재 노동법을 전문으로 다루는데도 아직 변호사와 같은 소송대리권이 없다는것인데, 현재 한국공인노무사회는 이에 소송대리권 확보를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는 중으로 보입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