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는 왜 거꾸로 뒤집혀있는데 어지럽지않나요 ?
박쥐는 거꾸로 뒤집혀있는데 어지럽지않을지 궁금합니다 보통 피가 중력에 의해 머리쪽으로 쏠리면 어지럽고 장시간 지속될시 죽을수가있잖아요 ? 박쥐는 어떻게 이런거에 있어서 자유로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쥐는 중력에 의해 머리로 혈액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수한 혈관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 혈관들은 머리로의 과도한 혈류를 제어하고, 필요한 만큼의 혈액만을 뇌로 전달하여 박쥐가 매달려 있을 때도 정상적인 생리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또한, 박쥐의 내이(vestibular system)는 그들이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도 방향 감각을 유지하도록 적응해 있습니다. 내이 내의 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s)과 기타 감지 기관들은 박쥐의 몸이 뒤집힌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지각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생리적 적응은 박쥐가 거꾸로 매달려 있어도 뇌로의 혈액 공급과 균형 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어지럼증이나 기타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합니다.박쥐는 목 근육이 매우 발달하여 머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균형 감각도 뛰어나서 어떤 자세에서도 몸을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박쥐의 혈액 순환 시스템은 우리와는 다르게 설계되어 있는데, 특히 뇌로 가는 혈액 순환 시스템은 중력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발달되어 있어, 거꾸로 매달려 있어도 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균형을 감지하는 내이의 구조도 박쥐는 좀 다른 형태입니다. 박쥐의 내이는 다양한 자세에서도 균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특화되어 있어, 어떤 자세에서도 안정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죠.
즉, 박쥐는 오랜 진화 과정을 통해 거꾸로 매달리는 생활에 완벽하게 적응한 동물입니다. 비유하자면 물고기가 물속에서 살도록 진화한 것처럼, 박쥐는 거꾸로 매달려 생활하는 데 최적화된 신체 구조와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박쥐의 몸은 반대로 거꾸로 매달리는 것에 더 유용하게 형성되게 진화했습니다. 높은 곳에 매달려 있어야 안전하며 박쥐는 다리를 쓸 일이 거의 없어서 다리가 퇴화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쥐는 거꾸로 매달려 있어도 어지럽지 않은 이유는 독특한 신체 구조 덕분입니다. 박쥐의 혈관계는 역류를 방지하고 혈압을 조절하는 특수 밸브와 적응된 구조를 갖추고 있어 피가 머리로 쏠리지 않으며, 매달려 있는 자세는 에너지 소비가 적어 생리적으로도 무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