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들어온 시기는 언제였나요?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들어왔던 시기는 언제였으며 1호 세례자는 누구였고 1호로 건축된 성당은 어디인가요?

천주교가 전래된 과정들에는 어떤 역사들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천주교 역사는 1784년, 조선시대 이승훈이 북경에서 프랑스 사람 그라몽 신부에게 세례를 받고 돌아왔을 때부터 본격적인 신자들의 모임이 시작되었습니다. 한국 최초의 교회는 1883년 5월 16일 서상륜과 서경조가 황해도에 설립한 소래교회입니다.

    유교 사상에 젖어 있던 당시의 지배층은 부모의 제사도 지내지 않는 천주교 신자들을 폐륜으로 보았으며 박해를 하였습니다. 정조시대에는 유화책으로 천주교에 대해서 너그럽게 보기도 했지만 그가 사망한 이후로 천주교 박해는 더욱 극심해져 많은 순교자를 낳았습니다. 1886년 흥선대원군이 물러나고 천주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천주교인들은 신앙의 자유를 얻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천주교는 조선 후기 들어왔으며, 1호 세례자는 '김대건 신부'였고, 당시 역관이었던 김범우(토마스)가 자신의 집터를 내주어 이를 매입해 세운 성당이 바로 명동성당이었습니다. 즉, 명동성당이 최초의 성당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 천주교는 전도를 해서 전래된 것이 아닌 스스로 학문을 습득하고 배워서 전래되었다는 특성을 지닙니다. )

  • 우리나라에 천주교는 조선 후기 서학의 일부로 유입됩니다. 그리고 1784년 이승훈이 중국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귀국한 이후 이벽, 권일신 등과 함께 천주교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여 본격적으로 천주교가 전파되었습니다.

    그리고 신자 김범우의 집은 한국 천주교도의 모임 장소가 되었습니다. 1785년 명례방 사건은 김범위의 집에서 모임을 가진 신자들이 체포되었고 김범우는 가혹한 형벌을 받고 유배되었습니다. 그리고 최초의 성당은 1892년 완공된 서울 중림동에 위치한 약현성당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