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달의 한쪽 면만 볼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티비를 보니 우리는 달의 한쪽 면만 계속해서 볼 수 있고 다른 쪽 면은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데 우리가 지구에서 달의 한쪽 면만 볼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달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똑같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수있는 달의 부분은 항상 똑같게 됩니다.
이런 현상을 조석고정이라고 하는데, 위성이 같은면만 행성을 바라보게 되는 현상은 다른 행성들에서도 관찰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달은 지구 주위를 약 27.3일에 걸쳐 한 바퀴 공전합니다. 그런데 달은 자전하는 데도 정확히 같은 27.3일이 걸립니다. 즉, 달이 한 바퀴 자전하는 시간과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이 동일합니다. 이 때문에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동안 자전도 같은 속도로 이루어져,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같은 면을 보게 됩니다. 달이 자전하는 동안 그 반대편 면이 지구를 향하게 될 시간이 없다는 것이죠. 동주기 자전은 달이 형성된 후 수십억 년 동안 지구의 중력적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했습니다. 지구의 중력이 달에 작용하여, 달의 자전 속도를 점점 느리게 만들어 결국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가 같아지도록 고정시킨 것입니다. 달의 중력 때문에 지구에는 조석 현상(바다의 밀물과 썰물)이 발생하는데, 반대로 지구의 중력도 달에 영향을 주어 자전 주기가 공전 주기와 같아지도록 만들었습니다. 달의 한쪽 면만 지구에서 보이기 때문에, 달의 반대편 면을 우리는 달의 뒷면 또는 달의 먼 면이라고 부릅니다. 이 뒷면은 지구에서는 볼 수 없으며, 1959년에 소련의 루나 3호가 최초로 달의 뒷면 사진을 찍어 인류가 달의 뒷면을 처음으로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달의 뒷면은 지구에서 관측할 수 없지만, 인공위성이나 우주 탐사선을 통해 관측이 가능합니다. 비록 달의 한쪽 면만 보이지만, 달의 궤도가 완벽한 원이 아니라 타원형이기 때문에 석화 운동(libration)이라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지구에서는 달의 표면 중 약 59%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즉, 달의 일부는 시간에 따라 살짝씩 보이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은 항상 같은 면을 보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