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03.29

성리학은 유교와 어떤점이 차이가 나는것인가요?

성리학은 고려말기에 우리나라에 보급된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러면 성리학은 유교와 어떤점이 차이가 나는것인가요? 그리고 성리학이 우리나라에 보급되기전에는 다른형태의 유교가 우리나라에 있었던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과 유교는 그 근본이 같습니다.

    성리학이 유교에서 나온 것이니까요.

    그러나 내용은 좀 다릅니다.


    유학은 기원전 5세기 공자로 부터 시작되었고,

    성리학은 12세기 무렵 주희에 의해 시작.

    둘 사이에는 무려 1700년 정도의 시간 차가 있습니다

    그러니 기본적인 골격은 같더라도 내용면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한마디로 말해,

    후대의 성리학이 유학에 비해 훨씬 발달된 사상이라는 것입니다

    성리학에는 유학에는 없는, '철학' 이 담겨 있는 것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공자의 문화와 사상을 정리한 유가사상을 유교라고 합니다.​

    성리학은 유교의 학문 분파 중 하나입니다.

    * 성리학(性理學): 유교를근간으로한 최고의 인문학을 말합니다

    12세기에 남송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입니다.

    학문의 목적은 자연 도덕주의, 도덕 형이상학 경학(유학)을 다시 승화시켜 더욱 철학적 견지에서 다르는 학문입니다.

    * 유교 : 공자를 시조(始祖)로 하는 중국의 대표적 사상.

    (仁)을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이념으로 삼고,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실 목표로 하는 일종의

    윤리학 ·정치학이며, 수천 년 동안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양사상을 지배하여 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은 고려 말기에 우리나라에 보급된 유교적 학문으로, 중국의 성리학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성리학은 인간의 도덕적 규범과 사회적 행동 규범에 대한 학문으로, 그 근본적인 가르침은 인간이 어떻게 선량한 삶을 살*** 수 있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성리학은 유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유교에서도 인간의 도덕적 규범과 사회적 행동 규범에 대한 가르침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와 관련된 역서와 함께 유교의 중요한 학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유교와 성리학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리학에서는 인간의 선한 행동이 곧바로 천도(天道)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 강조됩니다. 이는 유교에서도 중요한 가르침이지만, 성리학에서는 이를 더욱 강조합니다.

    성리학이 보급되기 전에도 우리나라에는 다른 형태의 유교적 학문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고려시대에는 잠언(箴言)과 논어(論語) 등의 경전이 많이 읽혔으며, 이들 경전에서도 인간의 도덕적 규범과 사회적 행동 규범에 대한 가르침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성리학이 보급되면서, 이전의 유교적 학문들과 함께 성리학의 영향을 받아 유교적 학문이 변화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