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이로동
이로동23.08.02

자동차를 타면 멀미를 왜하는건가요?

자동차만 타면 멀미를해서 대부분 자거나 창밖을 보는편입니다 잠깐 휴대폰을 보면 미칠듯이 어지러운데 대체 왜 차만타면 멀미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간단하게 내가 보고 있는 것과 내가 생각하고 있는 것이 다름에 따라 발생합니다.

    자세히 말하면 눈으로 보는 시각 기관이 주는 움직임과 귀의 내이에 있는 전정기관이 주는 머리의 움직임이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에서의 멀미는 시각적 정보와 전정기관의 감각적 정보가 서로 충돌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안에서는 시야가 주변 풍경과 달라지는데, 내 시각 정보와 내 귀의 정보가 서로 맞지 않아 뇌가 혼란스러워지고 멀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귀와 시각 정보의 불일치로 인해 내부의 균형감각이 어긋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를 타면 멀미를 하는 이유는, 귀의 내이의 전정기관과 시각기관이 서로 다른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전정기관은 머리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시각기관은 눈으로 보는 움직임을 감지합니다. 자동차를 타면 머리는 움직이지만, 눈은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전정기관과 시각기관이 서로 다른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멀미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의 원인은 시각과 여타 감각의 괴리 때문입니다. 시각의 정보는 움직이는게 거의 없게 느껴지지만 평형감각에서는 자꾸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하기에 어지러움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시각 정보와 평형감각 사이의 괴리가 커야 하며 그 괴리를 견디는 정도는 사람마다 편차가 있다. 예를 들어, 배나 차를 타더라도 일직선으로 뻗은 도로를 타고 시내를 천천히 달리거나, 해안가를 지나면 시각 정보도 자주 바뀌기 때문에 멀미가 발생할 확률이 줄어든다. 반면 경사가 심하거나 180도에 가까운 굽이가 많은 산길 등의 굽이가 많은 길을 달리거나, 파도가 거센 바다에서 배를 몰면 평형감각이 심하게 어긋나기 때문에 멀미가 쉽게 발생한다. (출처 : 나무위키 - 멀미)

    쉽게 말하면 차를 타고 가면 우리는 창밖에 눈으로 움직이는 시각정보를 뇌로 보냅니다. 그런데 귀에 있는 전정기관은 차안에 앉아 있기 떄문에 멈춰 있다고 정보를 보냅니다. 그럼 뇌에서는 이 두 정보의 혼란이 오고 그로 인해서 멀미가 발생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각과 귀의 평형, 몸속 체감각계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신체가 혼란을 일으키고 주위 환경과 귀, 몸이 느끼는 움직임이 달라지며 멀미 증상을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차량 앞좌석에서 변화가 적은 정면을 바라보는 것보다, 뒷좌석에서 빠르게 지나가는 풍경을 볼 때 멀미를 느끼기 쉽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는 귀 안쪽의 평형기관에 평소와는 다른자극이나 반복되는 강한진동에의해 신경감각이 크게 자극받고 이 자극이 뇌로전해져 어지러움과 메스꺼움을 느끼게합니다.

    그래서 멀미약은 이러한 신경신호를 둔감하게해주는 작용을하여 완화시켜줍니다.


  • 자동차를 타면 멀미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는 결과입니다. 주요한 이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각적 정보와 전정 기관의 불일치: 자동차 안에서 바깥 풍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시각적 정보와 내부에서 인지되는 전정 기관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일치가 뇌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고 멀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내부 공간의 부동성: 자동차 안에서 운전자나 승객은 차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안 몸이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내부 공간의 부동성이 뇌에 불일치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고 멀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귀의 반대편으로 전송되는 신호: 자동차에서 운전하는 동안 운전자의 귀는 차량의 진동 및 엔진 소음과 같은 소리를 수신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소리는 귀의 반대편에 위치한 뇌에서 처리되는 시각적 정보와 상충할 수 있으며, 멀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운전자의 시야와 주의 집중: 운전자가 도로 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운전에 집중해야 할 때 멀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집중이 필요한 상황에서 시야와 전정 기관의 정보가 불일치하면 멀미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멀미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멀미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차량 운전 시 창문을 약간 열어서 신선한 공기 흐름을 유도합니다.

    • 운전자나 승객이 잘 떨어지는 차량 좌석을 선택합니다.

    • 긴 여행 전에 빈 위를 유지하고 과식을 피하며, 음주나 니코틴 등 멀미를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을 피합니다.

    • 정면을 응시하며 안정적으로 시야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시각적 정보와 전정 기관의 불일치를 최소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