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닉네임멋진프로필을만들어보세요!
닉네임멋진프로필을만들어보세요!

넷제로 탄소 중립 목표는 현실적인가?

넷제로 탄소 중립 목표는 현실적인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당성하겠다는 각국의 선언이 이어지고 있는데 실제 기술적 경제적 장벽을 고려하면 실현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경제적·정치적 장벽이 큽니다. 재생에너지, 전기차, 탄소포집 등

    기술은 빠르게 발전 중이나 인프라 전환 비용이 막대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 책임 분담의 불균형도 해결 과제입니다. 또한 정책 의지와 국제 협력이

    지속돼야만 실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일단 현재 추세로는 목표 달성이 어렵지만 적극적 대응이 전제된다면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보여집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는 인간의 활동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제로로 하여 선택이 아닌 생존전략으로 지구온난화의 기후변화를 막는 넷제로 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현실에서 기술적, 경제적으로 장벽으로 탄소배출이 많은 제조업의 철강, 석유화학, 화력발전 등 산업중심으로 에너지를 전환이 필요합니다.

    석탄화력 발전 단계적 폐지, 재생에너지 확대, 탄소저감시설, 탄소세, 탄소배출권, 수소, 2차전지, 소형모듈원자로(SMR), 탄소포집저장 등으로 기후위기를 대응하기 위한 목표설정(2035년 61%, 2040년 80%, 2045년 90% 단계별 감축목표)으로 정부, 기업, 개인의 노력이 있다면 충분히 해결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실현가능성을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기술적 한계와 경제적 비용에 어려움이 있지만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목표라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2030년 이후 기술 발전과 더불어 확산이 기대되고 있으며 국제 협력과 정책 지원 및 사회적 의지에 따라

    가능한 목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