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장류들은 왜 보통 동물들과 달리 입안에 음식을 머금고 꼭꼭 씹어먹어요?
흔히 여러가지 원숭이들이나 침팬지, 고릴라와 오랑우탄같은 동물들을 모아서 영장류라고 하잖아요.
그래서 사람과 비슷한 점이 많다 보니 입술로 먹이를 한 입 머금고는 어금니로 꼭꼭 씹어먹더라고요.
무엇 때문에 다른 포유동물들보다 입안에 음식을 더 오래 편평한 어금니로 꼭꼭 씹어먹어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영장류는 잡식서이며 섬유질 ,단단한 식물을소화하기 위해 편평한 어금니와 발달한 턱 근육을 가지고 있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영장류는 과일이나 잎, 씨앗처럼 섬유질이 많고 단단한 먹이를 주로 먹기때문에 넓고 편평하게 진화된 어금니로 오래씹어서 표면적을 넓혀주어야 소화 효율이 올라갑니다.
또한 뇌 발달과 관련된 고에너지요구를 충족하기위해 영향흡수를 극대화하는
꼭꼭씹기전략이 선택된것입니다.
영장류가 음식을 입안에 머금고 오래 씹는 이유는 소화 효율을 높여 영양분 흡수를 극대화하기 위함입니다. 음식을 잘게 부수면 소화 효소가 작용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어지고, 침에 포함된 효소가 탄수화물을 일차적으로 분해하기 시작하여 소화 기관의 부담을 줄여줍니다. 이는 특히 섬유질이 많은 식물이나 과일을 섭취하는 영장류가 제한된 에너지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발달시킨 생존 전략에 해당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영장류, 특히 사람과 가까운 영장목 동물들이 음식을 입안에서 오래 씹는 행동을 하는 이유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인데요, 우선 영장류는 주로 식물성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데 예를 들어 잎, 과일, 씨앗, 견과류 등이 주요 식단입니다. 식물성 음식에는 셀룰로오스 같은 소화가 어려운 다당류가 많은데요, 씹는 행위는 음식물을 작은 입자로 잘게 부수어 소화 효소가 잘 닿도록 표면적을 늘리는 과정입니다. 이때 영장류는 위장관이 단순하거나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아, 음식을 충분히 잘게 씹어서 소화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영장류의 어금니는 편평하고 넓은 저작면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는 갈고, 으깨고, 곱게 부수는 저작작용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단단한 씨앗이나 질긴 식물 섬유를 분쇄하는 데 유리합니다. 다른 포유류, 예를 들어 육식동물은 날카로운 송곳니와 절단 치아를 가지고 있어, 씹기보다는 물고 찢거나 삼키는 방식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이유 이외에도 초기 영장류는 열대림에서 과일과 잎을 섭취하며 진화했는데요 충분히 씹는 행동은 영양소 흡수율을 높이고, 소화기관에 부담을 줄이며, 결과적으로 생존과 번식에 유리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강화되었습니다. 즉, 씹는 습관 자체가 자연선택에 의해 유지된 특성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장류의 신체구조와 생존 전략에 의한 것입니다.
영장류는 다른 포유류와 달리 평평하고 넓은 어금니를 가지고 있어, 맷돌처럼 음식을 갈고 으깨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는 주식으로 삼는 먹이가 섬유질이 많은 식물성 음식이나 단단한 열매이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소화하기 위함이죠.
그리고 음식을 오래 씹어 잘게 부수면 소화효소가 작용할 표면적이 넓어져, 영양분 흡수율이 극대화됩니다. 이는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인데, 적은 양의 음식으로도 최대한의 에너지를 얻기 위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다른 동물보다 큰 뇌를 유지하는데에도 많은 도움이 되는 방식이죠.
따라서 영장류가 음식을 오래 씹는 행동은 단순히 먹는 습관이 아니라, 복잡한 먹이를 소화하고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한 최적의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