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꽃병에 물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 있는 물체의 크기가 더 커보이고 작게 보이는건 결국 빛에 굴절에 의한건가요??

꽃병에 물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 있는 물체의 크기가 더 커보이고 작게 보이는건 결국 빛에 굴절에 의한건가요?? 그래서 물안에 있는 물체가 더 커보이는거죠??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굴절률이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빛은 굴절이라는 특징을 보이는데요.

    물 속 물체가 커보이는 것은 빛이 물병에서 공기중으로 이동하면서 굴절이 되는데 이는 눈에 들어오면서 크기가 다르게 비치는 것입니다. 빛의 굴절과 착시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매질에서 빛의 속도가 달라지고 우리가 보는 건 결국 다시 빛이 반사되어 눈으로 들어오는데 이때 속도가 느린 물에 으해서 빛이 꺽어 보이고 또한 물병의 병에 의해서도 볼록렌즈처럼 빛이 굴절됩니다. 그래서 눈으로 보면 더 크게 보이는 원리입니다. 빛이 어떤 매질이냐에 따라서 달라지고 속도가 느려지고 반사되는 것도 달라져서 물에 의해서 커보이고 유리병에 의해서도 확대되어 더 커져보입니다. 

    2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꽃병에 물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이 다르게 보이는 것은 빛의 굴절이 이유이죠. 공기 중에 있던 물체에서 나온 빛이 물을 통과하게되면 빛의 경로가 꺾이는데요. 이 빛이 다시 물 밖으로 나오면서 또 꺾이는 현상으로 물체의 크기나 형태가 달라 보이게되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물속에 있는 물체가 더 커보이는 것은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빛이 공기에서 물로 들어갈 때 속도가 느려지면서 진행 방향이 꺾이는데 이로 인해 눈에는 물체가 실제로보다 가까이 있고 크게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꽃병 안의 물속 부분이 바깥보다 왜곡되어 더 커보이는 현상이 나타나는 겁니다